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생활406

하드디스크에서 순차 읽기보다 랜덤 읽기를 많이하면 수명이 그 만큼 더 줄어들까? 설명해보았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는 순차 읽기/쓰기와 랜덤 읽기/쓰기 작업 간의 차이뿐 아니라, 그 작업들이 디스크의 기계적 부품과 자기 매체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결정됩니다. HDD는 기계적 동작을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특정 작업 패턴이 디스크의 부하와 마모에 차이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1. HDD의 기본 구조와 동작 원리HDD는 플래터(platter), 헤드(head), 스핀들(spindle), 액추에이터(arm) 등으로 구성된 기계적 장치입니다.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다음과 같은 과정이 필요합니다:플래터 회전: 디스크의 플래터가 고속으로 회전합니다(5,400~7,200 RPM, 고성능 디스크는 최대 15,000 RPM).헤드 이동: 데이터가 위치한 섹터를 찾기 위.. 2025. 1. 23.
윈도우에서 자동으로 부팅 후 VHD, VHDX 파일이 마운트 되도록 하기 Windows에서 부팅 시 특정 VHDX 파일이 자동으로 마운트되도록 설정하려면 아래의 방법을 따를 수 있습니다.1. PowerShell 스크립트 작성Windows에서는 PowerShell 스크립트를 사용해 VHDX 파일을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팅 시 자동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스크립트 작성PowerShell 스크립트 파일 생성:메모장을 열고 아래 코드를 입력합니다.$vhdPath = "C:\Path\To\Your\VHDX\File.vhdx"Mount-DiskImage -ImagePath $vhdPathC:\Path\To\Your\VHDX\File.vhdx를 실제 VHDX 파일 경로로 바꿔주세요.스크립트를 저장:파일 이름을 MountVHDX.ps1로 저장합니다.확장자는 .ps1이어.. 2025. 1. 23.
네트워크 계층? L3 네트워크 스위치? OSI L1~L7까지 설명해보았다. 네트워크 스위치와 L1~L7은 네트워크 계층 모델인 OSI 7계층(Open Systems Interconnection model)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스위치는 OSI 모델의 특정 계층에서 동작하며, 그 계층에 따라 스위치의 기능과 역할이 달라집니다. 여기서는 OSI 모델의 7계층 각각과 네트워크 스위치의 연관성, 스위치의 종류와 그 역할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OSI 모델의 개요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각 계층에서 수행되는 역할과 프로토콜을 정의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총 7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특정한 기능을 담당합니다.L1: 물리 계층 (Physical Layer)L2: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L3: 네트워크 계층 (Netwo.. 2025. 1. 23.
냉각 시스템에서 다른 것도 아닌 물을 사용하는 이유 냉각 시스템에서 물을 사용하는 이유는 물의 특성이 열전달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물은 다양한 열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냉각 매체로 널리 사용되며, 특히 높은 비열이 가장 주된 이유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물을 냉각에 사용하는 이유는 단순히 비열뿐만 아니라 다양한 특성과 실용적 장점들 때문입니다. 아래에서는 물의 냉각 특성, 비열의 역할, 다른 냉각 매체와의 비교, 그리고 물 사용 시의 이점과 단점에 대해 3000자 정도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물의 기본 특성과 냉각에서의 중요성(1) 비열이 높은 물비열의 정의: 비열은 물질 1g의 온도를 1℃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J/g·℃)입니다.물의 비열은 약 4.186 J/g·℃로, 대부분의 액체나 고체 물질보다 높습니다.예:.. 2025. 1. 23.
공랭 냉각의 한계와 수랭이 필요한 이유 공랭식 냉각 시스템은 컴퓨터, 전자기기, 엔진 등 다양한 기계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그러나 공랭 냉각은 풍량(팬 RPM)을 무작정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냉각 성능이 무한히 좋아지지 않으며, 일정 임계점 이후에는 효율이 감소하거나 한계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특정 상황에서는 수랭식 냉각이 필수적인 대안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공랭식 냉각의 작동 원리, 한계점, 풍량 증가의 효과와 한계, 그리고 수랭식 냉각이 필요한 이유를 3000자 분량으로 자세히 설명합니다.1. 공랭 냉각의 작동 원리공랭식 냉각은 열이 발생하는 장치의 표면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식입니다. 주요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1) 대류 (Convection)공랭식 냉각은 주로 대류를 통해 열을 전달합니다. 열원(예:.. 2025. 1. 23.
이전 윈도우에서 구성한 JBOD를 새로 설치한 윈도우에서 적용하는 방법 Windows에서 디스크 관리(Disk Management)를 사용해 구성한 JBOD(스팬된 볼륨, Spanned Volume)를 새로 설치한 윈도우에서 다시 사용하려면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아래에서는 디스크 상태 확인부터 JBOD 복구까지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1. JBOD의 원리JBOD(Just a Bunch of Disks)는 여러 물리적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 볼륨으로 묶는 방식입니다. Windows에서는 디스크 관리 도구에서 "스팬된 볼륨(Spanned Volume)"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JBOD의 특징:데이터는 여러 디스크에 걸쳐 저장되며, 특정 순서로 데이터가 기록됩니다.디스크 중 하나라도 손실되면 모든 데이터가 손상될 위험이 있습니다.디스크의 메타데이터는 운영체제가 관리하.. 2025. 1. 19.
소프트웨어 JBOD를 새로 설치한 윈도우에서 적용시키는 방법 소프트웨어 JBOD(Just a Bunch of Disks)는 물리적으로 독립된 디스크를 단일 볼륨으로 묶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저장하지만 RAID와 달리 스트라이핑이나 미러링 기능은 없습니다. JBOD 볼륨을 새로 설치한 윈도우에서 다시 인식하거나 적용하려면 아래 단계를 따라야 합니다.1. 이전 환경 확인새로운 윈도우에서 기존 JBOD 구성을 적용하려면 이전 환경의 정보를 파악해야 합니다.JBOD를 구성한 소프트웨어 확인:Windows의 **디스크 관리(Disk Management)**를 통해 JBOD를 구성했는지 확인.타사 소프트웨어(예: Storage Spaces, ZFS, Linux LVM 등)를 사용했는지 파악.JBOD에 사용된 디스크의 연결 순서 확인:물리적 디스크 .. 2025. 1. 19.
잠깐 연결을 해제하는 것 만으로도 레이드 (Raid)가 손실될까? 설명해보았다 디스크가 잠깐 연결이 해제되었다가 다시 연결되는 경우, Windows 소프트웨어 RAID의 동작은 RAID 구성 방식과 시스템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잠깐의 연결 해제는 데이터 손실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지만, RAID 0이나 JBOD와 같은 구성에서는 신중해야 합니다.구성 방식별 동작1. RAID 0 (스트라이프)특징: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분할하여 저장. 성능은 높지만, 데이터 보호는 없음.연결 해제 후 재연결:RAID 0은 하나의 디스크라도 연결이 해제되면 전체 볼륨이 비활성화됩니다.디스크를 재연결하더라도 RAID 0는 복구 기능이 없으므로, RAID 관리 도구에서 다시 연결하거나 재구성하지 않으면 데이터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습니다.잠깐의 연결 해제가 전체 데이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어 매.. 2025. 1. 19.
Windows 윈도우에서 JBOD 구성 방법 Windows에서 JBOD(Just a Bunch Of Disks) 구성을 만들 수 있습니다. JBOD는 RAID의 한 유형처럼 보이지만, 사실 RAID가 아닙니다. 디스크를 병합하여 단일 논리 드라이브로 보여주되, 데이터 보호나 성능 향상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JBOD는 단순히 여러 디스크의 용량을 합쳐서 하나의 큰 드라이브처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Windows에서 JBOD 구성 방법JBOD를 Windows에서 설정하려면 디스크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스팬 볼륨(Spanned Volume)"을 만들면 됩니다.1. JBOD 설정 전 준비디스크 준비: 두 개 이상의 디스크가 필요합니다. 동일한 용량이 아니어도 무방합니다.디스크 초기화: JBOD에 사용할 디스크는 모두 초기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diskm.. 2025. 1. 19.
Windows 윈도우에서 소프트웨어 레이드 RAID 설정하는 방법 Windows에서 소프트웨어 RAID 설정하는 방법소프트웨어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기본 제공하는 디스크 관리 도구를 통해 구현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RAID를 지원하지 않는 환경에서도 데이터를 보호하거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입니다. 여기에서는 Windows 10/11 및 Windows Server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RAID를 설정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소프트웨어 RAID란?소프트웨어 RAID는 운영체제의 디스크 관리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RAID를 구현하는 방식입니다. 주요 RAID 레벨은 다음과 같습니다:RAID 0 (Striping): 여러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하여 쓰기 속도를 .. 2025. 1. 19.
BD-RE나 다른 디스크의 수명이나 오류를 검사해주는 프로그램 BD-RE XL (Blu-ray Disc Rewritable Extra Large)는 고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광학 디스크로, 데이터를 여러 번 기록하고 지울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디스크의 수명은 사용 패턴, 기록 횟수, 보관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디스크의 수명을 테스트하거나 상태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툴과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1. 수명 테스트와 상태 확인을 위한 툴광학 디스크의 품질과 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1) Opti Drive Control기능: 디스크의 품질 테스트, 오류 검사, 쓰기/읽기 속도 테스트 등.지원: 다양한 광학 드라이브와 호환.특징: PI/PO 오류 테스트(PI.. 2025. 1. 19.
윈도우에서 NFS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Windows에서 NFS를 사용하는 방법 및 SMB와의 성능 비교1. NFS란?NFS(Network File System)는 Sun Microsystems가 1984년에 개발한 파일 시스템 프로토콜로,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고 로컬 디렉터리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NFS는 주로 Linux, Unix 기반의 환경에서 사용되지만, Windows에서도 특정 설정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2. Windows에서 NFS 사용하기Windows는 기본적으로 SMB(Server Message Block)를 사용하지만, Windows 10 Pro, Enterprise, 그리고 Windows Server 버전에서는 NFS 클라이언트 기능을 활성화하여 NF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NFS 서버를 통해.. 2025. 1. 19.
NFS와 SMB를 장단점, 용도, 다른 점 등을 비교해보았다. NFS와 SMB의 비교 및 장단점NFS(Network File System)와 SMB(Server Message Block)는 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공유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주요 프로토콜입니다. 이들은 각각의 특징, 장단점, 적합한 환경에서의 사용이 다르며, 서로 다른 플랫폼 및 환경에 따라 선택됩니다.1. NFS와 SMB 개요NFS(Network File System)개발: 1984년 Sun Microsystems에서 개발.운영체제: 주로 Linux, Unix 계열에서 사용되며, macOS에서도 지원.동작 방식: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파일 시스템을 네트워크를 통해 마운트하고, 원격 파일을 로컬 디렉터리처럼 사용할 수 있음.SMB(Server Message Block)개발: IBM이 처음 설계.. 2025. 1. 19.
NFS 파일 공유 시스템이 뭘까? 설명해보았다. NFS 파일 공유 시스템NFS(Network File System)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NFS는 원격 파일 시스템을 로컬 파일 시스템처럼 마운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 공유와 협업을 용이하게 합니다.1. NFS의 기본 원리NFS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서버는 파일 시스템을 공유하고 관리하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읽거나 수정합니다.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의 특정 디렉터리를 마운트하며, 로컬 디렉터리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NFS는 RPC(Remote Procedure Call)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상에서 .. 2025. 1. 19.
바닷물 온도차로 전기를 만드는 친환경 에너지, OTEC에 대해 설명해보았다 바다에서 열을 이용해 에너지를 얻는 개념은 실현 가능한 아이디어로, 실제로 해양 열에너지 변환(Ocean Thermal Energy Conversion, OTEC)이라는 기술이 존재합니다. 이 기술은 바다의 온도 차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 기술에는 장단점과 도전 과제가 있습니다.OTEC의 작동 원리OTEC 시스템은 표층수와 심층수 사이의 온도 차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합니다. 이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표층수 이용: 해양의 표층수는 태양에 의해 따뜻해집니다(약 20-30도).심층수 이용: 바다 깊은 곳의 심층수는 상대적으로 차갑습니다(약 5도 이하).온도 차를 이용한 발전: 이 온도 차를 이용해 액체(보통 암모니아 같은 낮은 끓는점의 물질)를 증발시키고, 증기를 이용해 터빈을.. 2025. 1. 19.
ZFS에서 압축 레벨(compression level)은 어떤 것으로 하는게 좋을까 설명해보았다. TrueNAS에서 zpool의 압축 수준(compression level) 설정은 데이터의 종류, 사용 패턴, 그리고 CPU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기본값인 LZ4는 대부분의 사용 사례에서 최적화된 선택이지만, 특정 상황에 따라 다른 압축 알고리즘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1. 압축의 기본 원리ZFS의 압축은 데이터가 디스크에 저장되기 전에 실시간으로 적용됩니다.압축된 데이터는 디스크 공간을 절약하고,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 동안 I/O 작업을 줄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압축이 적용되지 않은 데이터는 그대로 저장되며, 압축 알고리즘에 따라 CPU 사용량과 성능이 달라집니다.2. 주요 압축 알고리즘ZFS에서 지원하는 압축 알고리즘과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LZ4 (기본값)속도: 매우 빠름.효율.. 2025. 1. 19.
윈도우(Windows)와 TrueNAS를 동시에 한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방법 여러가지 Windows 10과 TrueNAS를 동시에 한 머신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사용 목적, 성능, 안정성, 그리고 관리 편의성에 따라 적절한 접근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방법과 각각의 장단점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가상화(Virtualization)를 활용한 방법TrueNAS와 Windows 10을 하나의 머신에서 동시에 운영하려면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두 운영 체제를 서로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1.1. 방법 1: Windows 10을 호스트로 사용하고 TrueNAS를 가상화Windows 10에 가상 머신 소프트웨어(VMware Workstation, VirtualBox, Hyper-V 등)를 설치한 후 TrueNA.. 2025. 1. 19.
TrueNAS에서 boot-pool 장치를 파일 저장 스토리지로 사용할 수 있을까? TrueNAS에서 boot-pool 장치는 운영 체제를 부팅하기 위한 전용 풀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파일 저장 스토리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TrueNAS의 설계 원칙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결정입니다. 하지만 몇 가지 상황과 방법을 이해하면 왜 그렇게 설정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boot-pool의 역할운영 체제 저장TrueNAS의 부트 드라이브는 운영 체제(OS) 파일, 설정, 로그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전용 장치입니다.안정성과 성능을 위해 부트 풀은 파일 데이터 스토리지와는 분리되어야 합니다.안정성 보장TrueNAS는 파일 스토리지 시스템의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부팅 장치를 데이터 스토리지로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 충돌이나 데이터 손상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ZFS.. 2025. 1. 19.
우분투(Linux Ubuntu)에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하기 Ubuntu에서 NVIDIA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NVIDIA 드라이버 설치 및 설정 과정을 포함합니다. NVIDIA GeForce RTX 3080과 같은 고성능 GPU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적절한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구성해야 합니다. 다음은 이 과정을 3000자 정도로 자세히 설명합니다.1. NVIDIA 드라이버의 중요성NVIDIA GPU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NVIDIA의 전용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Ubuntu는 기본적으로 **오픈소스 드라이버(Nouveau)**를 포함하지만, 성능과 기능 면에서 제한적입니다. 특히 RTX 3080과 같은 최신 그래픽 카드는 Nouveau 드라이버에서 제대로 지원되지 않습니다.NVIDIA의 전용 드라이버는 다음을 제공합니다:GPU .. 2025. 1. 19.
우분투 데스크탑 Ubuntu Desktop은 어떤 유저, 어떤 상황, 어떤 목적에서 적합할까? 설명해보았다. Ubuntu Desktop은 리눅스 배포판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배포판 중 하나로, 사용자 친화성, 오픈소스 생태계, 강력한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Windows와 macOS와는 다른 특성과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 및 상황에서 적합합니다. 아래에서는 Ubuntu Desktop이 적합한 사용자 유형, 상황, 그리고 목적을 3000자 정도로 자세히 설명합니다.1. Ubuntu Desktop이 적합한 유저(1) 개발자Ubuntu Desktop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합니다.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 Ubuntu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중심에 있는 플랫폼으로, C, C++, Python, Java, Go, Rust 등 여러 언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웹.. 2025. 1. 19.
TrueNAS에서 램 캐시 ARC, 쓰기 캐시 SLOG(ZIL), 읽기 캐시 L2ARC를 셋팅해보자 TrueNAS에서 ARC, SLOG, L2ARC를 설정하거나 관리하는 것은 ZFS의 성능 최적화를 위한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각각의 요소는 TrueNAS의 기본 동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직접 설정하는 방식은 제한적입니다. 아래는 각각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설정 및 관리 방법을 설명합니다.1. ARC (Adaptive Replacement Cache)ARC는 ZFS의 기본 메모리 캐시로, 사용 가능한 시스템 RAM을 활용해 읽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TrueNAS에서 ARC 설정TrueNAS에서는 ARC 크기를 직접 설정하지 않고, 시스템 RAM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하지만, 고급 튜닝이 필요한 경우에는 sysctl 명령어를 사용하거나 Tunables를 통해 설.. 2025. 1. 19.
ZFS의 root dataset을 SMB(삼바 공유)로 사용하기 TrueNAS에서 root dataset을 SMB(Windows 공유)로 직접 사용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권장되지 않으며, 몇 가지 제약으로 인해 어렵거나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설정을 통해 가능하게 만들 수는 있습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Root Dataset의 특징Root dataset은 ZFS 풀의 최상위 데이터셋으로, 풀 전체의 기본 구성을 나타냅니다.TrueNAS에서는 root dataset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파일, 구성 파일 및 다른 하위 데이터셋의 부모 역할을 합니다.보안 및 관리상 이유로 root dataset에 직접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공유 설정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 정책입니다.2. 기본적으로 SMB로 사용할 수 없는 이유보안 문제: Root data.. 2025. 1. 19.
블로그는 어떻게 접속 키워드나 경로, 방문자 수를 추적 할 수 있을까?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관리 페이지에서 트래커를 통해 방문자가 어떤 키워드로 어떤 사이트에서 접속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웹 분석 기술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HTTP 프로토콜, 브라우저 리퍼러(Referrer), UTM 파라미터, 쿠키, 스크립트 기반 추적 기술 등을 활용하여 작동합니다. 아래에서 3000자 정도로 이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HTTP 리퍼러(Referrer) 헤더HTTP 프로토콜에는 Referer(오타로 인해 Referrer가 아닌 "Referer"로 표기)라는 헤더가 존재합니다. 이 헤더는 사용자가 현재 페이지에 도달하기 직전에 방문했던 페이지의 URL 정보를 포함합니다.1.1. Referrer 헤더의 동작 원리사용자가 A 웹사이트에서 특정 링크를 클릭하여 B 웹사.. 2025. 1. 19.
웹사이트에 도메인이 아니라 아이피 주소(IP 주소)로 접속하려고 하면 차단 되는 이유 웹사이트에 IP 주소로 접속하려고 할 때 서버가 이를 차단하는 이유는 주로 보안, 성능, 그리고 운영 관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이를 3000자 정도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도메인 기반 호스팅현대의 웹 서버는 일반적으로 도메인 기반 가상 호스팅(Virtual Hosting)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한 IP 주소에 여러 도메인을 연결하여 운영합니다.1.1. 가상 호스팅과 Host 헤더클라이언트(사용자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요청 헤더의 Host 필드를 통해 접속하려는 도메인을 서버에 전달합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https://example.com에 접속하면 브라우저는 요청 헤더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GET / HTTP/1.1 Host: example... 2025. 1. 19.
TrueNAS에서 이중 인증 로그인 (2FA) 추가하기, 그 외 보안 강화하기 TrueNAS의 웹 인터페이스에 2FA(Two-Factor Authentication)를 설정하는 방법과 추가적인 보안 강화 방법을 아래에 자세히 설명합니다.1. TrueNAS 웹 인터페이스에서 2FA 설정하기TrueNAS는 관리 인터페이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2FA를 지원합니다. 이를 설정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1.1. TrueNAS 웹 인터페이스에 로그인웹 브라우저를 열고 TrueNAS의 IP 주소(예: https://192.168.1.100)로 접속합니다.관리 계정(admin)으로 로그인합니다.1.2. 2FA 활성화시스템 설정(System Settings) 메뉴로 이동합니다.사용자 관리(Accounts) → **사용자(Users)**를 선택합니다.**관리 계정(admin)**을 클릭하여 설정.. 2025. 1. 19.
Google Authenticator, Authy 류의 OTP 앱의 원리는 어떻게 될까? 알아보았다. Google Authenticator의 원리와 OTP 생성 과정Google Authenticator와 같은 OTP 앱은 TOTP (Time-Based One-Time Password) 알고리즘과 HOTP (HMAC-Based One-Time Password)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이 시스템은 RFC 6238 및 RFC 4226 표준에 정의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유효한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의 보안성을 높입니다. 아래에서 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1. OTP 생성의 기본 원리(1) 공유 비밀 키(Secret Key)사용자가 Google Authenticator 앱을 처음 설정할 때, 서버는 고유의 비밀 키(Secret Key)를 생성합니다.이 키는.. 2025. 1. 19.
IEEE라는 것은 뭘까? IEEE의 규격은 뭐가 있을까? 설명해보았다. IEEE는 다양한 네트워킹과 통신 기술 표준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화 기구로, 802 시리즈는 주로 유선 및 무선 네트워킹 관련 표준을 다룹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IEEE 802 시리즈와 그 외 주요 IEEE 표준들을 설명하겠습니다:1. IEEE 802.3 (Ethernet)설명: 이 표준은 유선 네트워크, 즉 이더넷 기술을 다룹니다. 이더넷은 LAN(Local Area Network) 기술의 핵심으로,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주요 사양:전송 매체: 구리 케이블, 광섬유속도: 초기 버전은 10 Mbps, 이후 Fast Ethernet (100 Mbps), Gigabit Ethernet (1 Gbps), 10 Gigabit Ethernet, 100 Gigabit Ethernet까지 .. 2025. 1. 17.
역대 와이파이 Wi-Fi 버전들을 전부 알아보자. 802.11 a/b/g/n/ac/ax/be 802.11 a/b/g/n/ac/ax/be는 Wi-Fi의 여러 표준을 나타내며, 각각은 서로 다른 속도, 대역폭, 기술적 진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표준의 출시 연도와 주요 기술적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1. 802.11 (1997)출시 연도: 1997최대 속도: 2 Mbps주파수 대역: 2.4 GHz특징: 초기 Wi-Fi 표준으로, 속도와 신뢰성이 매우 낮았습니다.2. 802.11b (1999)출시 연도: 1999최대 속도: 11 Mbps주파수 대역: 2.4 GHz특징: 저렴하면서도 가정과 기업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표준. 혼잡한 2.4 GHz 대역을 사용.3. 802.11a (1999)출시 연도: 1999최대 속도: 54 Mbps주파수 대역: 5 GHz특징: 5 GHz 대역을 사용해 속도는 빠르.. 2025. 1. 17.
와이파이 7 (Wifi-7) 802.11be는 기존 와이파이와 뭐가 다르고 특징이 뭘까? 알아보았다. 802.11be는 Wi-Fi 7로도 불리는 차세대 무선 통신 표준으로, 주로 초고속 데이터 전송과 초저지연, 다중 사용자 지원에 초점을 맞춘 기술입니다. 기존 802.11ax(Wi-Fi 6 및 6E)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기술이며,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과 차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주요 특징: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 46 Gbps802.11be는 최대 46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802.11ax의 최고 속도인 9.6Gbps에 비해 약 4.8배 더 빠릅니다.이를 위해 더 넓은 대역폭과 더 많은 채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합니다.최대 320MHz 채널 대역폭802.11be는 기존 Wi-Fi 6에서 160MHz였던 최대 채널 대역폭을 320MHz로 확장합니다. .. 2025. 1. 17.
와이파이나 5G에서 언급되는 MIMO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는 와이파이나 5G 같은 무선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MIMO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고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MIMO의 원리:MIMO 시스템은 여러 개의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송신 측과 수신 측에 각각 다중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와 네트워크 용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Input (송신 안테나): 데이터를 여러 개의 안테나로 동시에 전송합니다.Output (수신 안테나): 각 .. 2025.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