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EEE는 다양한 네트워킹과 통신 기술 표준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화 기구로, 802 시리즈는 주로 유선 및 무선 네트워킹 관련 표준을 다룹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IEEE 802 시리즈와 그 외 주요 IEEE 표준들을 설명하겠습니다:
1. IEEE 802.3 (Ethernet)
- 설명: 이 표준은 유선 네트워크, 즉 이더넷 기술을 다룹니다. 이더넷은 LAN(Local Area Network) 기술의 핵심으로,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주요 사양:
- 전송 매체: 구리 케이블, 광섬유
- 속도: 초기 버전은 10 Mbps, 이후 Fast Ethernet (100 Mbps), Gigabit Ethernet (1 Gbps), 10 Gigabit Ethernet, 100 Gigabit Ethernet까지 진화
- PoE (Power over Ethernet) 기능 추가로 전원 공급도 가능
- 출시: 1983년
2. IEEE 802.11 (Wi-Fi)
- 설명: 무선 LAN (WLAN)을 위한 표준. 다양한 주파수 대역(2.4 GHz, 5 GHz, 6 GHz)을 사용하여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합니다.
- 주요 사양: 각기 다른 속도와 대역폭, 보안 기능을 가진 여러 하위 표준(802.11a, 802.11b, 802.11g, 802.11n, 802.11ac, 802.11ax, 802.11be)
- 출시: 1997년
3. IEEE 802.1 (Bridging & Network Management)
- 설명: 네트워크 브리징, 관리, 보안, 가상 LAN(VLAN),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STP) 등 네트워크 인프라를 관리하는 규격입니다.
- 주요 기능:
- 802.1Q: VLAN 태그를 사용해 네트워크 분할
- 802.1X: 포트 기반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보안 인증)
4. IEEE 802.15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 WPAN)
- 설명: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을 위한 표준으로, 블루투스가 포함됩니다.
- 주요 사양:
- 802.15.1: 블루투스 (10~100m 거리)
- 802.15.4: ZigBee (IoT 및 저전력 장치용)
- 출시: 2002년
5. IEEE 802.16 (WiMAX)
- 설명: 광역 무선 통신을 위한 표준. WiMAX는 무선 광대역 접속을 제공하며, 주로 광역 네트워크(WAN)에 사용됩니다.
- 주요 사양:
- 최대 70 M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 제공
- Wi-Fi보다 더 넓은 지역을 커버, 주로 도시 전역의 무선 연결에 사용
- 출시: 2001년
6. IEEE 802.17 (Resilient Packet Ring - RPR)
- 설명: 광섬유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으로, 이더넷을 통해 데이터 트래픽을 관리하고 회복력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주요 사양:
- 데이터 패킷이 손실 없이 양방향으로 전송
- 네트워크 중단 시 자동으로 회복 기능 제공
- 출시: 2004년
7. IEEE 802.19 (Coexistence of Wireless Standards)
- 설명: 여러 무선 기술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충돌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표준입니다.
- 주요 기능: 서로 다른 무선 표준(예: Wi-Fi, 블루투스, ZigBee)이 동일한 주파수에서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조정 기능
IEEE의 다른 주요 표준
1. IEEE 1394 (FireWire)
- 설명: 컴퓨터와 주변 기기 간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리얼 버스 표준입니다. FireWire는 특히 비디오 장비와 오디오 장비 연결에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 속도: 400 Mbps, 800 Mbps
- 출시: 1995년
2. IEEE 488 (GPIB - General Purpose Interface Bus)
- 설명: 연구실 장비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표준 인터페이스로, 주로 실험 장비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 속도: 수십 kbps 수준의 저속 데이터 전송
3. IEEE 754 (Floating Point Arithmetic)
- 설명: 컴퓨터에서 부동 소수점 숫자를 표현하고 연산하는 방식에 대한 표준입니다.
- 주요 기능: 부동 소수점 숫자의 정확한 표현과 연산을 위한 포맷 제공. 모든 현대 CPU와 GPU가 이 표준을 따릅니다.
4. IEEE 802.20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 MBWA)
- 설명: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에서도 끊김 없는 무선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기술 표준입니다.
- 속도: 1 Mbps 이상 제공
5. IEEE 1722 (Audio/Video Bridging - AVB)
- 설명: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오디오와 비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표준입니다.
- 주요 기능: 신뢰성 있는 시간 기반 전송, 낮은 지연 시간으로 실시간 미디어 전송을 보장
IEEE 표준 명명 체계
- 802와 같이 특정 숫자는 IEEE 작업 그룹을 의미하며, 802는 네트워크 관련 표준을 의미합니다.
- 802.11처럼 그 뒤에 붙는 숫자와 문자 조합은 특정 프로젝트나 하위 그룹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802.11은 무선 LAN(Wi-Fi)을, 802.3은 이더넷을 의미합니다.
IEEE는 계속해서 기술 발전에 맞춰 새로운 표준을 개발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와 통신뿐만 아니라 전기, 전자, 컴퓨터 분야 전반에 걸쳐 널리 적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ueNAS에서 이중 인증 로그인 (2FA) 추가하기, 그 외 보안 강화하기 (0) | 2025.01.19 |
---|---|
Google Authenticator, Authy 류의 OTP 앱의 원리는 어떻게 될까? 알아보았다. (0) | 2025.01.19 |
역대 와이파이 Wi-Fi 버전들을 전부 알아보자. 802.11 a/b/g/n/ac/ax/be (0) | 2025.01.17 |
와이파이 7 (Wifi-7) 802.11be는 기존 와이파이와 뭐가 다르고 특징이 뭘까? 알아보았다. (0) | 2025.01.17 |
와이파이나 5G에서 언급되는 MIMO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