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indows에서 JBOD(Just a Bunch Of Disks) 구성을 만들 수 있습니다. JBOD는 RAID의 한 유형처럼 보이지만, 사실 RAID가 아닙니다. 디스크를 병합하여 단일 논리 드라이브로 보여주되, 데이터 보호나 성능 향상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JBOD는 단순히 여러 디스크의 용량을 합쳐서 하나의 큰 드라이브처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Windows에서 JBOD 구성 방법

JBOD를 Windows에서 설정하려면 디스크 관리 도구를 사용하여 "스팬 볼륨(Spanned Volume)"을 만들면 됩니다.


1. JBOD 설정 전 준비

  1. 디스크 준비: 두 개 이상의 디스크가 필요합니다. 동일한 용량이 아니어도 무방합니다.
  2. 디스크 초기화: JBOD에 사용할 디스크는 모두 초기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diskmgmt.msc 실행 후 디스크 초기화 가능)
  3. 중요 데이터 백업: JBOD는 데이터 보호 기능이 없으므로 디스크 중 하나라도 손상되면 모든 데이터가 손실됩니다. 따라서 설정 전에 데이터를 백업하세요.

2. JBOD 설정 방법

  1. 디스크 관리 열기
    • Windows + R을 눌러 diskmgmt.msc를 실행하여 디스크 관리 도구를 엽니다.
  2. 새 스팬 볼륨 생성
    • JBOD에 사용할 첫 번째 디스크를 오른쪽 클릭하고 **새 스팬 볼륨(New Spanned Volume)**을 선택합니다.
  3. 디스크 추가
    • JBOD로 결합할 나머지 디스크를 선택하여 추가합니다.
    • 추가된 디스크의 총 용량이 JBOD 볼륨의 용량이 됩니다.
  4. 드라이브 문자 및 파일 시스템 설정
    •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하고 파일 시스템은 NTFS로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볼륨 이름을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5. 포맷 및 마무리
    • JBOD 구성을 확인한 후 "마침"을 눌러 디스크를 포맷하고 설정을 완료합니다.

3. PowerShell을 사용하여 JBOD 설정

JBOD를 PowerShell로 설정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스토리지 풀 생성 (선택 사항):
    powershell
    New-StoragePool -FriendlyName "MyStoragePool" -StorageSubSystemFriendlyName "Windows Storage*" -PhysicalDisks (Get-PhysicalDisk -CanPool $true)
  2. 가상 디스크 생성:
    powershell
    New-VirtualDisk -StoragePoolFriendlyName "MyStoragePool" -FriendlyName "JBODVolume" -ResiliencySettingName "Simple" -Size 10TB
  3. 드라이브 포맷:
    powershell
    Initialize-Disk -Number 1 -PartitionStyle GPT New-Partition -DiskNumber 1 -UseMaximumSize -AssignDriveLetter | Format-Volume -FileSystem NTFS -NewFileSystemLabel "JBODVolume"

4. 주의 사항

  • 데이터 손실 위험: JBOD는 디스크 중 하나가 손상되면 전체 데이터를 잃을 위험이 있습니다.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거나, 별도로 백업을 유지하세요.
  • 성능 및 복구: JBOD는 RAID처럼 성능 향상을 제공하지 않으며, 복구 기능이 없습니다.

5. JBOD와 RAID의 차이

특징 JBOD RAID
데이터 보호 없음 RAID 1/5/10 등에서 제공
성능 향상 없음 RAID 0/10 등에서 제공
디스크 용량 활용 디스크 전체 용량 사용 가능 RAID 레벨에 따라 일부 용량 손실
복구 기능 없음 RAID 1/5/10 등에서 제공

이 방법으로 Windows에서 JBOD 구성을 손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JBOD는 데이터 보호보다는 단순히 디스크 용량을 하나로 통합하려는 경우에 적합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우물 밖 개구리.

우물 밖 개구리의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