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46

ESXi에서 TrueNAS SCALE과 Windows 11 간 통신 방법 및 속도 ESXi에서 TrueNAS SCALE과 Windows 11 간 통신 방법 및 속도ESXi에서 TrueNAS SCALE과 Windows 11을 가상머신(VM)으로 실행할 때, 두 VM 간의 통신 방식은 크게 가상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방식에 따라 성능과 속도가 달라집니다.1. ESXi 내에서 VM 간 네트워크 연결 방식ESXi에서 VM끼리 통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vSwitch) 사용 (기본 방식)TrueNAS SCALE과 Windows 11 VM이 같은 vSwitch에 연결됨VM 내부 통신은 외부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음속도는 ESXi의 내부 네트워크 속도(10Gbps~100Gbps 이상)✅ 속도: 10~100Gbps 이상 (ESXi 내부 네.. 2025. 2. 3.
Ethernet vs. InfiniBand vs. RDMA vs. RoCE – 고속 네트워크 기술 비교 분석 Ethernet vs. InfiniBand vs. RDMA vs. RoCE – 고속 네트워크 기술 비교 분석데이터센터, 클라우드, AI/HPC(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는 초고속 네트워크가 필수다.일반적인 Ethernet(이더넷) 외에도 InfiniBand, RDMA, RoCE 같은 고속 전송 기술이 사용되며, 이를 이해하면 고속 네트워크를 설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1.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요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트워크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기술명  설명 주요 특징 Ethernet (이더넷)가장 널리 쓰이는 네트워크 표준네트워크 속도 1~400Gbps, 높은 호환성InfiniBand (IB)HPC(고성능 컴퓨팅) 및 데이터센터용 초저지연 네트워크낮은 지연시간(Latency), 200~4.. 2025. 2. 3.
Mellanox ConnectX-3, ConnectX-3 Pro, ConnectX-4 비교 분석 Mellanox ConnectX-3, ConnectX-3 Pro, ConnectX-4 비교 분석Mellanox의 ConnectX 시리즈는 데이터센터, 고성능 컴퓨팅(HPC),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에 널리 사용되는 고속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이다.ConnectX-3, ConnectX-3 Pro, ConnectX-4는 40GbE~100GbE 네트워크 구축 시 자주 사용되는 모델이며, 각 모델마다 성능 및 기능 차이가 존재한다.1. 기본 사양 비교 모델명  출시 연도 최대 속도 지원 포트 프로토콜 PCIe 버전 기능 차이ConnectX-32011최대 56GbpsQSFP+ (FDR IB / 40GbE)Ethernet, InfiniBand (IB)PCIe 3.0 x8기본적인 40GbE & IB 지원Co.. 2025. 2. 3.
40GbE NIC에서 RJ45 포트 모델이 거의 없는 이유 40GbE NIC에서 RJ45 포트 모델이 거의 없는 이유40Gb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를 찾을 때 대부분 QSFP+ 기반이고, RJ45 포트(Copper Base-T)를 지원하는 모델은 거의 없는 이유는 크게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1. 40GBase-T (RJ45) 표준의 낮은 채택률40GbE를 지원하는 RJ45 포트 방식은 **"40GBase-T"**로 표준화되어 있지만, 실제 데이터센터와 엔터프라이즈 네트워크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고전력 소비:40GBase-T(UTP)는 PHY 칩셋에서 신호 변환 과정이 필요하며, 포트당 5~8W의 높은 전력 소비가 발생반면, QSFP+ (DAC/AOC)는 포트당 1~2W 수준으로 효율적고발열 문제:40GBase-T 포트.. 2025. 2. 3.
40Gbps UTP vs. 40Gbps QSFP: 비교 및 분석 40Gbps UTP vs. 40Gbps QSFP: 비교 및 분석40Gbps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두 가지 주요 연결 방식이 존재한다:40Gbps UTP (Unshielded Twisted Pair) - 일반적으로 RJ45 (Ethernet Base-T)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CAT8 또는 CAT7 케이블 기반40Gbps QSFP (Quad Small Form-factor Pluggable) - QSFP+ 광 트랜시버 및 DAC/AOC(Direct Attach Cable / Active Optical Cable) 기반이 두 방식은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 속도, 비용, 설치 난이도, 전력 소비, 거리 지원, 지연시간(latency) 등 여러 측면에서 비교해 보겠다.1.. 2025. 2. 3.
TrueNAS에서 iSCSI 볼륨을 마운트한 상태에서 Windows에서도 동시에 마운트할 수 있을까? 설명해보았다 TrueNAS에서 iSCSI 볼륨을 마운트한 상태에서 Windows에서도 동시에 마운트할 수 있는가?✅ 결론: iSCSI는 여러 장치에서 동시에 마운트할 수 없음.✅ 하지만, TrueNAS에서 마운트한 후 NFS/SMB로 공유하면 Windows에서도 접근 가능함.1. iSCSI의 기본 동작 방식iSCSI는 블록 레벨 스토리지이므로, 마운트하는 OS에서 "로컬 디스크"처럼 인식됨.Windows나 Linux에서 iSCSI LUN을 마운트하면 파일 시스템을 직접 관리하게 됨.하지만, 같은 LUN을 여러 시스템에서 동시에 마운트하면 파일 시스템 충돌이 발생할 수 있음.✅ 즉, iSCSI는 다중 클라이언트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없음!2. 왜 iSCSI를 동시에 마운트하면 안 되나?🔹 파일 시스템 충돌 문제iSC.. 2025. 2. 3.
iSCSI LUN에 저장된 파일을 NFS처럼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을까? iSCSI LUN에 저장된 파일을 NFS처럼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지?✅ iSCSI는 블록 스토리지이므로, 직접 파일을 NFS처럼 공유할 수 없음.✅ 하지만, iSCSI LUN을 마운트한 서버에서 NFS 또는 SMB 공유를 설정하면 가능함.1. iSCSI는 기본적으로 "파일 공유"가 아님iSCSI는 NFS나 SMB와 다르게 파일 단위가 아니라 블록 단위로 스토리지를 제공함.예를 들어, iSCSI LUN을 Windows에서 마운트하면 해당 드라이브는 NTFS로 포맷된 로컬 디스크처럼 동작함.따라서 이 LUN 자체를 네트워크 공유하려면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함.2. iSCSI LUN을 공유하는 방법 (NFS 또는 SMB를 이용)🔹 방법 1: iSCSI LUN을 서버에 마운트하고, NFS/SMB로 공유하기1.. 2025. 2. 3.
iSCSI란 무엇인가? iSCSI에 대한 상세 설명, SMB NFS와의 비교까지 iSCSI에 대한 상세 설명1. iSCSI란 무엇인가?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는 SCSI 명령을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원격 스토리지를 로컬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토리지 프로토콜이다.즉, 일반적인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방식(SMB, NFS)과 달리,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디스크를 직접 마운트하여 로컬 블록 스토리지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기술이다.💡 쉽게 말해:SMB/NFS → 파일 단위(File-Level) 공유iSCSI → 블록 단위(Block-Level) 공유 (로컬 디스크처럼 동작)📌 iSCSI의 주요 특징:TCP/IP 기반이므로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이더넷)를 활용할 수 있음.. 2025. 2. 3.
40GbE 네트워크 카드 NIC – Mellanox vs. Intel 멜라녹스 인텔 비교 40GbE NIC – Mellanox vs. Intel 비교40GbE(40 Gigabit Etherne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중에서 Mellanox와 Intel 제품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어떤 제품이 더 나은 선택인지 설명하겠습니다.🔹 1. Mellanox와 Intel의 NIC 개요✅ 1) Mellanox 40GbE NICMellanox는 고성능 네트워크 및 HPC(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강력한 성능을 제공하는 NIC를 만드는 회사로, **NVIDIA에 인수(2020년)**된 이후에도 계속해서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대표적인 모델: Mellanox ConnectX-3, ConnectX-4, ConnectX-5InfiniBand & Ethernet 지.. 2025. 2. 3.
10Gbps SFP+ 케이블로 40GbE 연결이 가능할까? 10Gbps SFP+ 케이블로 40GbE 연결이 가능한가?인터넷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10Gbps SFP+ DAC (Direct Attach Cable) 또는 광케이블을 40GbE (40GBASE) 연결에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SFP+와 QSFP+ 인터페이스 차이점40GbE를 연결하려면 SFP+ (10Gbps) 모듈이 아니라 QSFP+ (40Gbps) 모듈을 사용해야 합니다.10GbE와 40GbE는 물리적인 커넥터와 데이터 전송 방식이 다르므로 10GbE용 케이블을 그대로 40GbE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속도 인터페이스 커넥터 타입 주요 용도10GbESFP+SFP+ DAC, SFP+ 광모듈 (LC 커넥터)서버 간 10GbE 연결40GbEQSFP+QSFP+ DAC, .. 2025. 2. 3.
OpenVPN 클라이언트 연결 시 VPN으로만 통신하게 만들기 (Kill Switch) 🔹 OpenVPN 클라이언트 연결 시 인터넷 차단 (Kill Switch) 설정 방법OpenVPN 클라이언트가 VPN에 연결되면, 일반적으로 모든 트래픽이 VPN을 통해 전달됩니다. 하지만 VPN이 끊기면 기존의 인터넷 연결이 복구되면서 IP 유출 가능성이 생깁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Kill Switch 기능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1. OpenVPN 설정에서 Kill Switch 적용 (Windows)Windows에서 OpenVPN 연결 시 인터넷을 차단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방법 1: 방화벽을 이용한 Kill Switch 설정 (추천)Windows 방화벽을 활용하면 OpenVPN 인터페이스가 비활성화될 경우 인터넷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1️⃣ Windows + R → wf.msc .. 2025. 2. 3.
OpenVPN의 속도를 높이는 방법 OpenVPN의 속도를 최대로 높이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OpenVPN 속도를 빠르게 하는 주요 설정아래 방법들을 조합하면 속도를 최대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1. 암호화 & 인증 방식 제거 또는 약화1-1. 암호화 없음 (No Encryption, cipher none)암호화가 필요 없다면 암호화를 완전히 비활성화하면 속도가 크게 향상됨.설정 방법:cipher noneauth nonecipher none과 auth none을 설정하면 CPU 부하가 거의 없어지므로 전송 속도가 극대화됨.1-2. AES-128-GCM 사용 (경량 암호화)암호화를 완전히 끄는 것이 어렵다면, 가장 가벼운 알고리즘인 AES-128-GCM을 사용.설정 방법:cipher AES-128-GCMAES-256-CBC보다 .. 2025. 2. 3.
PPTP나 WireGuard에서 OpenVPN TAP 모드(TAP Bridge)와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까? 1. PPTP에서 TAP 브리지 같은 기능 사용 가능 여부✅ 가능하지만, PPTP 자체가 보안상 매우 취약하여 추천되지 않음.PPTP는 기본적으로 TAP/TUN 개념이 아니라 PPP(Point-to-Point Protocol) 기반이므로, OpenVPN의 TAP처럼 로컬 네트워크(192.168.x.x)와 완전히 동일한 IP를 부여하는 브리지 모드를 직접 지원하지 않음.하지만, PPTP VPN 서버에서 DHCP 리스(Proxy ARP) 기능을 활성화하면 VPN 클라이언트가 공유기의 기존 IP 대역(예: 192.168.50.x)을 받을 수 있음.📌 PPTP에서 VPN 클라이언트가 기존 네트워크 IP를 받도록 설정하는 방법 (ASUS 공유기 기준)공유기 관리자 페이지(192.168.50.1)에서 VPN > .. 2025. 2. 3.
공유기의 VPN에서 별도의 서브넷 없이 내부 네트워크의 IP 할당 받는 방법 (OpenVPN TAP 모드) ASUS 공유기의 VPN 서버 기능(OpenVPN, PPTP, L2TP)을 사용할 때, VPN 클라이언트가 별도의 서브넷(예: 10.0.0.x)을 할당받는 것이 기본 동작입니다. 하지만 VPN 클라이언트가 기존 공유기의 로컬 네트워크(192.168.50.x)에 속하도록 설정하는 방법도 가능합니다. 이를 "VPN 브리지 모드" 또는 **"TAP 모드"**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방법 1: OpenVPN TAP 모드 사용 (브리지 모드)설명ASUS 공유기의 기본 OpenVPN 설정은 TUN 모드로 동작하며, 별도의 서브넷을 사용(10.8.0.x 또는 10.0.0.x)합니다.하지만 TAP 모드를 사용하면, VPN 클라이언트가 기존 네트워크(192.168.50.x)의 IP를 직접 받을 수 있습니다.설정 방법공유기.. 2025. 2. 3.
왜 옛날 남북 전쟁 때에는 툭 하면 팔 다리를 잘랐을까? 불구가 많았던 이유 남북전쟁 당시(1861-1865)에는 의료 기술과 위생 관념이 오늘날과 비교해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부상 치료가 제한적이었고, 절단 수술(Amputation)이 일반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당시 많은 병사들이 팔다리를 잃게 된 이유를 몇 가지 관점에서 설명하겠습니다.1. 의료 기술의 한계1-1. 감염을 막을 방법의 부족당시는 세균의 존재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 루이 파스퇴르와 조제프 리스터의 위생 개념이 등장하기 전이라, 감염이 부상 치료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었지만 이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방법이 없었습니다.의사들은 손과 기구를 소독하지 않고 수술했으며, 때로는 같은 도구를 여러 환자에게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이로 인해 병원균이 상처를 통해 침투해 감염(패혈증, 괴저 등)이 심각해졌습니다.1.. 2025. 2. 3.
동영상 인코딩을 할 때 최대 몇 스레드까지 활용 가능할까? 64스레드 이상 활용 가능할까? FFmpeg에서 SVT-AV1 인코딩 시 Xeon E5-2697 v4 듀얼(총 72스레드) 활용 가능 여부SVT-AV1(Scalable Video Technology for AV1)은 Intel이 개발한 고성능 AV1 인코더로, 멀티스레드 및 대규모 병렬 연산에 최적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CPU의 전체 스레드를 100% 활용할 수 있는지는 SVT-AV1의 스레드 확장성, 작업 부하, FFmpeg의 옵션 설정에 따라 달라집니다.1. SVT-AV1의 멀티스레딩 구조SVT-AV1은 멀티코어 CPU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병렬 프로세스를 사용합니다. 특히, 인코딩 파이프라인이 여러 개의 스레드로 분산되므로 코어 수가 많을수록 성능 향상이 발생합니다.하지만, 72스레드(36코어 × 2)의.. 2025. 2. 1.
iOS에서 크로미움 기반 브라우저가 존재하지 않는 이유와 기술적 배경 1. 크로미움(Chromium)과 브라우저 엔진의 개념크로미움(Chromium)은 구글이 개발한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 프로젝트로, 크롬(Chrome), 마이크로소프트 엣지(Microsoft Edge), 브레이브(Brave), 오페라(Opera), 비발디(Vivaldi) 등 여러 주요 브라우저의 기반이 되는 엔진입니다. 크로미움의 핵심 렌더링 엔진은 Blink이며, 자바스크립트 엔진으로는 V8을 사용합니다.대부분의 크로미움 기반 브라우저는 Blink 엔진을 사용하여 웹 페이지를 렌더링하지만, iOS에서는 현재까지 Blink 엔진을 사용한 브라우저를 공식적으로 실행할 수 없습니다. 이는 애플의 정책 때문이며, 이에 대한 이유를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2. 애플의 App Store 정책과 WebKit.. 2025. 2. 1.
iOS (아이폰, 아이패드) 에서 강제로 키보드를 띄우는 방법 아이패드에서 강제로 키보드를 띄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특정 앱에서 키보드가 자동으로 나타나지 않거나 물리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화면 키보드를 수동으로 불러와야 할 수도 있습니다.1. 화면 키보드 강제 표시하기 (물리 키보드 사용 중)물리 키보드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화면 키보드는 기본적으로 숨겨져 있습니다. 하지만 필요할 때 강제로 띄울 수 있습니다.방법 1: 키보드 아이콘 사용 (소프트웨어 키보드 활성화)화면 하단 오른쪽 모서리에 있는 키보드 아이콘(⌨️)을 찾습니다.아이콘을 탭하면 "키보드 표시" 옵션이 나타납니다."키보드 표시"를 선택하면 소프트웨어 키보드가 나타납니다.만약 아이콘이 보이지 않는다면, 앱이 전체 화면이거나 특정 입력 필드가 선택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방법 2:.. 2025. 2. 1.
윈도우를 초기화 할때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Windows를 새로 설치하기 전에 중요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설치 후에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준비 작업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Windows를 새로 설치하기 전에 따라야 할 체크리스트를 설명한 내용입니다.1. 중요 데이터 백업Windows를 새로 설치하면 기존 데이터를 모두 삭제해야 하므로, 백업이 가장 중요합니다.(1) 데스크탑 및 문서 폴더 백업Windows에서 자주 사용하는 파일은 대개 데스크탑, 문서, 다운로드, 사진 폴더에 저장됩니다.외장 하드 드라이브, USB, 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예: Google Drive, OneDrive, Dropbox)를 사용해 백업합니다.(2) 브라우저 데이터 백업북마크/즐겨찾기: 브라우저에서 북마크를 내보내기 기능을 사용하여 저.. 2025. 2. 1.
윈도우에서 시스템 사운드를 비활성화 해도 계속 활성화 되는 문제, 그리고 해결 방법 Windows에서 시스템 사운드를 음소거해도 재부팅 시 다시 활성화되는 문제는 윈도우 운영체제의 기본 동작 때문입니다. 시스템 사운드 설정은 사용자 환경과 일부 서비스에 따라 초기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영구적으로 비활성화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아래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을 약 3000자에 걸쳐 설명합니다.1. 시스템 사운드 비활성화의 이해Windows의 시스템 사운드는 알림, 경고, 확인 등 다양한 이벤트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특정 사운드는 운영체제의 핵심 알림 기능과 연결되어 있어 이를 완전히 비활성화하려면 레지스트리나 고급 설정을 변경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2. 제어판을 통한 시스템 사운드 비활성화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제어판에서 시스템 사운드를.. 2025. 2. 1.
코어나 램 할당을 나중에 ESXi 콘솔에서 줄이거나 키울 수 있을까? ESXi에서는 VM에 할당된 CPU 코어와 RAM을 나중에 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변경 과정에서 몇 가지 제한 사항과 필요한 절차를 이해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CPU와 RAM 할당 변경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1. ESXi에서 코어와 RAM 할당 변경 가능 여부1-1. CPU 코어 변경변경 가능: ESXi에서는 VM에 할당된 vCPU(가상 CPU) 코어 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재부팅 필요: 대부분의 경우, CPU 코어 수를 변경하려면 해당 VM을 재부팅해야 적용됩니다.CPU 코어는 VM의 가상 하드웨어 설정에서 변경되므로, 라이브 상태에서는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않습니다.제한 사항:VM에 할당 가능한 최대 CPU 코어는 ESXi 호스트의 물리적 코어 수에 의해 제한됩니다.VM 설.. 2025. 2. 1.
Nvidia vGPU (NVIDIA GRID)가 Geforce 제품군에서 사용 불가능한 이유와 사용 가능한 제품들 **NVIDIA vGPU(NVIDIA GRID)**는 기본적으로 GeForce 시리즈에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NVIDIA vGPU는 주로 Quadro, RTX A 시리즈(이전의 Quadro RTX), Tesla, A100, H100 등 엔터프라이즈 및 데이터센터용 GPU를 대상으로 설계된 기술입니다. GeForce GPU는 vGPU와 관련된 소프트웨어 및 드라이버 지원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GeForce GPU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NVIDIA vGPU 기능을 활용할 수 없습니다.NVIDIA vGPU란 무엇인가?NVIDIA vGPU는 하나의 GPU를 여러 가상 머신(VM)이 공유하도록 만들어주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VM당 전용 GPU 성능을 제공하거나, 여러 VM이 GPU 리소스를 동적으로 공유할.. 2025. 2. 1.
VMware ESXi 의 무료가 없어진 지금, 무료인 Proxmox와 비교해보았다. VMware ESXi의 무료 라이선스 정책이 변경되었다는 점에서 대안을 찾고 있다면, **Proxmox Virtual Environment (Proxmox VE)**는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Proxmox는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으로, 강력한 기능과 유연성을 제공하며,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Proxmox와 관련된 주요 특징, 장단점, 그리고 ESXi와의 비교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Proxmox VE란 무엇인가?Proxmox VE는 KVM 기반의 가상화 플랫폼으로, 완전한 오픈소스이며 엔터프라이즈급 가상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가상 머신(VM)**과 **컨테이너(LXC)**를 동시에 지원하며, 클러스터링, 고가용성(HA), 백업, 네트워크 가상화와 같은 고급.. 2025. 2. 1.
TrueNAS Core 와 TrueNAS SCALE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비교해보았다 TrueNAS Core와 TrueNAS Scale은 둘 다 iXsystems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네트워크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데이터 저장, 관리, 공유, 백업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 운영체제입니다. 하지만 두 버전은 기반이 되는 운영체제와 설계 철학, 그리고 기능적 차이점에서 구분됩니다. 아래에서는 차이점, 용도, 장단점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TrueNAS Core1.1 기반운영체제: FreeBSD 기반.파일 시스템: ZFS(최고 수준의 데이터 무결성, 스냅샷, 압축, 복구 기능 제공).1.2 특징성숙도: TrueNAS Core는 이전에 FreeNAS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으며, 10년 이상의 개발 역사와 커뮤니티 지원을 통해 안정적이고 신뢰할 .. 2025. 2. 1.
TrueNAS 에서 전용 소프트웨어 말고 FreeBSD 기반의 외부 프로그램도 실행이 가능할까? TrueNAS는 FreeBSD를 기반으로 한 오픈소스 네트워크 스토리지 운영체제(OS)입니다. 최근에는 TrueNAS의 두 가지 주요 버전, TrueNAS CORE와 TrueNAS SCALE, 각각의 기반 운영체제가 약간 다릅니다. 아래에서 TrueNAS의 운영체제 기반과, 프로그램 실행 가능 여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TrueNAS의 운영체제 기반1.1 TrueNAS CORETrueNAS CORE는 FreeBSD를 기반으로 하며, ZFS 파일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습니다.FreeBSD는 안정성과 네트워크 성능에 강점이 있는 운영체제로, 서버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1.2 TrueNAS SCALETrueNAS SCALE은 Debian Linux를 기반으로 한 버전으로, Kubernet.. 2025. 2. 1.
SATA가 아니라 SSATA라는 규격이 따로 있을까? 설명해보았다. SSATA라는 용어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SATA와는 약간 다른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혼동이 있을 수 있으니, 이를 명확히 설명해드릴게요. 😊SSATA란 무엇인가?SSATA: Server SATA (혹은 Super SATA)SSATA는 때때로 "Server SATA" 또는 **"Super SATA"**로 불리며, 주로 서버나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사용하는 SATA 포트를 의미합니다.이 포트는 표준 SATA와 동일한 데이터 전송 규격(예: SATA 3.0, 6Gbps)을 사용하지만, 특정 서버 메인보드에서 추가로 제공되며 일반 SATA 포트와는 별도의 역할이나 기능을 가질 수 있습니다.용도SSATA 포트는 서버 시스템에서 저장 장치를 구분하거나 특수한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025. 2. 1.
듀얼 소켓 메인보드에서 CPU를 하나만 장착하고도 사용이 가능할까? X99 듀얼 소켓 메인보드를 사용할 때, CPU를 하나만 장착하고 사용하다가 나중에 두 번째 CPU를 추가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가능합니다. 그러나 몇 가지 중요한 점을 확인해야 하며, 아래에서 이를 설명하겠습니다. 😊1. 듀얼 소켓 메인보드에서 CPU 하나만 사용하기CPU 하나만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듀얼 소켓 메인보드의 대부분은 CPU 하나만 장착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단, CPU를 **주 소켓 (Primary Socket)**에 설치해야 합니다.주 소켓은 일반적으로 "CPU1" 또는 "Socket 1"으로 표기되며, 이는 매뉴얼에 명시되어 있으니 반드시 확인하세요.동작 모드:CPU 하나만 사용할 경우, 메인보드와 연결된 일부 슬롯이나 기능(예: RAM 슬롯, PCIe 슬.. 2025. 2. 1.
마이크로소프트 Hyper-V 속에서 또 다른 VM을 실행하는게 가능할까? (Nested Virtualisation) Hyper-V에서 VM 안에서 또 다른 VM을 구동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가능하지만, 이를 위해 몇 가지 전제 조건과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 기능은 일반적으로 "Nested Virtualization"이라고 불립니다.Nested Virtualization이란?Nested Virtualization은 물리적 Hyper-V 호스트의 VM 안에서 또 다른 Hyper-V를 실행하고, 그 내부에서 VM을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주로 테스트, 개발, 또는 클라우드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사용됩니다.필수 조건호스트 CPU 지원Intel VT-x (Intel Virtualization Technology) 또는 AMD-V와 같은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이 필요합니다.호스트 CPU가 "EPT (E.. 2025. 2. 1.
메인보드의 최대 램 메모리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 메인보드의 최대 RAM 용량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완벽하게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메인보드의 제품 스펙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최대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도 아래와 같이 가능합니다.1. 소프트웨어로 확인하는 방법운영체제나 진단 툴을 사용해 메인보드가 지원하는 최대 RAM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A. Windows에서 확인**CMD(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MaxCapacity: 메인보드가 지원하는 총 최대 메모리 용량(단위: KB).MemoryDevices: 메인보드의 메모리 슬롯 개수.예시 출력:→ 이 경우, 메인보드가 최대 64GB(67108864KB = 6.. 2025. 2. 1.
파워 서플라이에 ATX 8핀 CPU 보조전원이 1개밖에 없는데 메인보드에는 2개 이상이 필요할 때의 해결법 메인보드에 CPU 보조 전원 커넥터(8핀)가 2개 필요하지만, 파워 서플라이에 8핀 CPU 커넥터가 하나만 있는 경우, 아래 방법들을 고려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1. Y 스플리터 케이블 사용8핀 EPS Y 스플리터 케이블을 사용하면 하나의 8핀 CPU 커넥터를 두 개로 분리하여 메인보드의 두 커넥터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이 방법은 파워 서플라이의 8핀 CPU 전원 출력이 충분히 강력한 경우에만 권장됩니다.권장 조건: 파워 서플라이가 충분히 높은 출력(W)과 품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주의: 스플리터는 출력 전류를 분배하므로 과도한 전력 소비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2. 4핀 Molex → 8핀 EPS 변환 어댑터 사용파워 서플라이의 4핀 Molex 커넥터를 8핀 EPS 커넥터로 변환하는 어댑터를.. 2025. 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