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SXi에서 TrueNAS SCALE과 Windows 11 간 통신 방법 및 속도
ESXi에서 TrueNAS SCALE과 Windows 11을 가상머신(VM)으로 실행할 때, 두 VM 간의 통신 방식은 크게 가상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방식에 따라 성능과 속도가 달라집니다.
1. ESXi 내에서 VM 간 네트워크 연결 방식
ESXi에서 VM끼리 통신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vSwitch) 사용 (기본 방식)
- TrueNAS SCALE과 Windows 11 VM이 같은 vSwitch에 연결됨
- VM 내부 통신은 외부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음
- 속도는 ESXi의 내부 네트워크 속도(10Gbps~100Gbps 이상)
✅ 속도: 10~100Gbps 이상 (ESXi 내부 네트워크)
➡ 최적화하면 거의 메모리 속도로 통신 가능하며, 병목 없이 빠름
② 물리적 네트워크(Physical Network) 사용
VM 간 통신을 ESXi의 물리적인 네트워크 카드(NIC)를 통해서 수행할 수도 있음.
✅ 장점:
- ESXi의 내부 네트워크 설정 없이 쉽게 설정 가능
- Windows와 TrueNAS VM이 외부 장치와도 직접 통신 가능
❌ 단점:
- ESXi 내부 vSwitch를 사용하는 것보다 성능이 낮을 수 있음
- NIC 속도(예: 1GbE, 10GbE)에 따라 성능 제한됨
✅ 속도:
- 1GbE NIC 사용 시 최대 1Gbps
- 10GbE NIC 사용 시 최대 10Gbps
➡ 고속 네트워크 카드(예: Mellanox 40GbE, 56GbE)를 사용하면 속도를 높일 수 있음
③ DirectPath I/O (PCI Passthrough) 사용 (최고 성능 옵션)
이 방법은 TrueNAS SCALE에 물리적인 NIC를 직결(Passthrough)하여 Windows 11과 직접 통신하도록 하는 방법임.
✅ 장점:
- NIC의 실제 성능을 그대로 활용 가능 (예: 10GbE, 40GbE, 56GbE 등)
- VM끼리 직접 물리 NIC를 통해 연결하면 지연 시간이 최소화됨
❌ 단점:
- ESXi에서 VMotion 같은 기능을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음
- 하드웨어 설정이 필요함 (BIOS/UEFI에서 IOMMU 활성화 필요)
✅ 속도:
- NIC의 물리 속도 그대로 (예: 40GbE 사용 시 40Gbps, 56GbE 사용 시 56Gbps)
➡ 고성능 NAS 구축을 원하면 이 방식 추천
2. 최적의 설정 방법 (성능 최적화)
-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vSwitch 사용(내부 10~100Gbps 속도)
- 고성능이 필요하면 DirectPath I/O로 NIC Passthrough 사용
- Jumbo Frame(MTU 9000) 활성화하여 네트워크 성능 향상
- Flow Control 및 RSS(Receive Side Scaling) 최적화
➡ ESXi 내부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TrueNAS와 Windows 간 초고속 통신 가능!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베이, 중고 사이트에서 헐값에 파는 암호 화폐 코인 지갑, 비밀번호 해킹 해서 내가 가질 수 있을까? (0) | 2025.02.03 |
---|---|
코인 지갑, 해킹이 가능할까? 무차별 대입 공격 가능할까? (1) | 2025.02.03 |
Ethernet vs. InfiniBand vs. RDMA vs. RoCE – 고속 네트워크 기술 비교 분석 (0) | 2025.02.03 |
Mellanox ConnectX-3, ConnectX-3 Pro, ConnectX-4 비교 분석 (0) | 2025.02.03 |
40GbE NIC에서 RJ45 포트 모델이 거의 없는 이유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