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베이에서 헐값에 파는 랜덤 비트코인 지갑을 사더라도, 브루트포스로 해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의미가 없습니다.
1. 랜덤 비트코인 지갑이란?
이베이 같은 곳에서 "랜덤 비트코인 지갑" 이라는 상품을 헐값에 파는 경우가 있습니다.
- 주로 Keystore JSON 파일, Mnemonic(복구 문구) 없이 비밀번호만 모르는 상태로 판매됩니다.
- 판매자는 "비밀번호를 풀면 지갑 안의 비트코인을 얻을 수 있다!"라고 광고하지만, 실제로 비밀번호를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2. 왜 브루트포스가 불가능할까?
비트코인 지갑(예: Keystore JSON)은 PBKDF2, scrypt 같은 강력한 KDF(Key Derivation Function)를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 이 알고리즘들은 의도적으로 계산을 매우 느리게 만듦
- GPU나 ASIC으로 병렬 처리를 해도 비밀번호를 크래킹하는 데 엄청난 시간이 소요됨
(1) Keystore JSON 파일의 KDF 연산
알고리즘 | 반복 횟수 | 해독 속도(비밀번호당) |
PBKDF2 | 262,144회 이상 | GPU 1개로 1초에 수십 개 |
scrypt | N=16384, r=8, p=1 | GPU 1개로 1초에 5~10개 |
Argon2 | 메모리 기반 연산 | 병렬 공격 매우 어려움 |
💡 즉, GPU를 이용해도 초당 몇 개 안 되는 속도로 크래킹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3. 실제 브루트포스 시 걸리는 시간
만약 비밀번호가 8자리 알파벳+숫자 조합이라고 가정하면:
- 일반적인 GPU(예: RTX 3090) 성능 기준:
- PBKDF2 연산: 초당 약 100개
- 가능한 비밀번호 조합: 36^8 ≈ 2.8조 개
- 총 예상 시간: 100만 년 이상
- 만약 비밀번호가 12자리 이상이라면?
- 사실상 해독 불가능
💡 즉, 초강력 슈퍼컴퓨터를 동원해도 현실적으로 해독이 불가능한 수준입니다.
4. "랜덤 비트코인 지갑" 판매의 진실
✅ 가능한 시나리오
- 판매자가 이미 사용된(빈) 지갑을 랜덤으로 파는 경우
- 낚시 상품: 비트코인이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거래내역만 남아 있는 빈 지갑
- 구매자가 호기심으로 구매하지만 비밀번호를 해독할 방법이 전혀 없음
❌ 불가능한 시나리오
- 지갑에 진짜 비트코인이 들어있고, 쉽게 해독할 수 있는 비밀번호인 경우
- 만약 쉽게 해독할 수 있다면, 판매자가 직접 크래킹해서 가져가면 되는데 굳이 팔 이유가 없음
- 비밀번호 크래킹이 현실적으로 가능할 가능성
- 현재 기술로 불가능
💡 결국, 이베이에서 파는 "랜덤 비트코인 지갑"은 거의 100% 사기이거나, 의미 없는 데이터일 가능성이 높음.
5. 결론
이베이에서 랜덤 비트코인 지갑을 사서 브루트포스로 해독하는 것은 의미가 없음.
- 현재 기술로는 PBKDF2, scrypt, Argon2 등의 KDF 연산을 크래킹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
- **"비밀번호를 풀면 돈이 생긴다"**라는 말은 그냥 낚시
- 실제로 가치 있는 비트코인 지갑이라면, 판매자가 직접 해독해서 가져가지 굳이 판매하지 않음
🚨 결론: 이런 상품은 구매하지 않는 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 🚨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VX-512 명령어 집합: 개요, 특징, 장점, 단점, 그리고 게임에서의 문제점 (0) | 2025.02.03 |
---|---|
임대주택에서 천장에 프로젝터 설치하는 방법 (1) | 2025.02.03 |
코인 지갑, 해킹이 가능할까? 무차별 대입 공격 가능할까? (1) | 2025.02.03 |
ESXi에서 TrueNAS SCALE과 Windows 11 간 통신 방법 및 속도 (0) | 2025.02.03 |
Ethernet vs. InfiniBand vs. RDMA vs. RoCE – 고속 네트워크 기술 비교 분석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