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남북전쟁 당시(1861-1865)에는 의료 기술과 위생 관념이 오늘날과 비교해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부상 치료가 제한적이었고, 절단 수술(Amputation)이 일반적인 치료법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당시 많은 병사들이 팔다리를 잃게 된 이유를 몇 가지 관점에서 설명하겠습니다.


1. 의료 기술의 한계

1-1. 감염을 막을 방법의 부족

  • 당시는 세균의 존재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습니다. 루이 파스퇴르와 조제프 리스터의 위생 개념이 등장하기 전이라, 감염이 부상 치료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었지만 이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 의사들은 손과 기구를 소독하지 않고 수술했으며, 때로는 같은 도구를 여러 환자에게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이로 인해 병원균이 상처를 통해 침투해 감염(패혈증, 괴저 등)이 심각해졌습니다.

1-2. 항생제의 부재

  • 페니실린 같은 항생제는 남북전쟁이 끝난 뒤인 1928년에 발견되었습니다. 감염이 발생하면 치료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감염 부위를 절단해 제거하는 것이 생명을 구할 유일한 방법이었습니다.

1-3. 국소 치료 기술의 미비

  • 오늘날처럼 정밀 수술 도구나 현미경적 수술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세밀한 봉합이나 조직 복원이 불가능했습니다. 부상 부위를 살리는 것보다 감염이 번지기 전에 절단하는 것이 더 현실적이라고 여겨졌습니다.

2. 부상의 성격

2-1. 무기의 발전

  • 남북전쟁 때 사용된 무기, 특히 **Minié ball(미니에 볼)**이라는 납 탄환은 이전의 탄환과 달리 더 크고 무겁고 속도가 낮았습니다. 이 탄환은 몸에 들어가면서 큰 충격과 파편을 만들어 뼈를 산산조각 냈습니다.
  • 뼈가 산산조각난 경우 이를 복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고, 치료를 시도하는 것보다 절단이 더 빠르고 안전했습니다.

2-2. 치명적인 감염 위험

  • 당시 전쟁터는 흙과 먼지가 가득한 환경으로, 부상자가 땅에 쓰러지면 상처에 즉시 흙과 이물질이 들어갔습니다. 감염 위험이 매우 높았고, 특히 파편으로 인한 상처는 괴저(gangrene)로 이어질 가능성이 컸습니다. 이러한 부상을 방치하면 사망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3. 전시 상황의 제약

3-1. 시간과 자원의 부족

  • 전쟁터에서 의사와 간호사들은 수많은 부상자를 치료해야 했습니다. 절단 수술은 비교적 빠르게 끝낼 수 있어, 생존 가능성이 있는 다른 병사들에게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었습니다.
  • 한쪽 팔다리를 절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0~15분 정도였으며, 대부분의 의사는 하루에 수십 건의 절단 수술을 했습니다.

3-2. 마취제의 한계

  • 남북전쟁 당시 에테르클로로포름 같은 마취제가 도입되어 있었지만, 충분히 보급되지 않았거나 남용으로 인해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도 많았습니다. 이를 통해 간단한 절단은 가능했지만, 정교한 치료는 수행하기 어려웠습니다.

3-3. 의료진의 부족

  • 대부분의 군 의사들은 훈련을 받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전쟁 중 임시로 의사가 된 사람도 많았습니다. 그들은 정교한 외과 수술을 수행할 기술이 부족했기 때문에, 감염을 막기 위해 절단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4. 통계로 보는 당시의 절단 수술

  • 남북전쟁에서 약 6만 건의 절단 수술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전쟁 중 수행된 모든 수술의 약 75%를 차지합니다.
  • 절단 수술의 생존율은 약 75%였지만, 상처가 감염되거나 괴저로 번지면 생존 가능성은 급격히 떨어졌습니다.

5. 절단 수술 후의 삶

  • 당시에는 의수(의족) 기술이 발달하지 않아, 절단 후의 삶은 매우 힘들었습니다. 부상당한 군인들은 전쟁 이후에도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특히 남부에서는 이런 부상자들이 많아졌고, 남북전쟁의 후유증은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론

남북전쟁 당시 부상자의 팔다리가 자주 절단된 이유는 주로 의료 기술과 위생 수준의 한계, 치명적인 감염 위험, 그리고 전쟁터에서의 현실적인 제약 때문이었습니다. 오늘날에는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부상 부위를 절단하지 않고도 회복이 가능한 경우가 많지만, 당시에는 절단이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간주되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우물 밖 개구리.

우물 밖 개구리의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