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546 TrueNAS에서 boot-pool 장치를 파일 저장 스토리지로 사용할 수 있을까? TrueNAS에서 boot-pool 장치는 운영 체제를 부팅하기 위한 전용 풀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파일 저장 스토리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TrueNAS의 설계 원칙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결정입니다. 하지만 몇 가지 상황과 방법을 이해하면 왜 그렇게 설정되어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boot-pool의 역할운영 체제 저장TrueNAS의 부트 드라이브는 운영 체제(OS) 파일, 설정, 로그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전용 장치입니다.안정성과 성능을 위해 부트 풀은 파일 데이터 스토리지와는 분리되어야 합니다.안정성 보장TrueNAS는 파일 스토리지 시스템의 안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부팅 장치를 데이터 스토리지로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 충돌이나 데이터 손상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ZFS.. 2025. 1. 19. 우분투(Linux Ubuntu)에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하기 Ubuntu에서 NVIDIA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NVIDIA 드라이버 설치 및 설정 과정을 포함합니다. NVIDIA GeForce RTX 3080과 같은 고성능 GPU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적절한 드라이버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구성해야 합니다. 다음은 이 과정을 3000자 정도로 자세히 설명합니다.1. NVIDIA 드라이버의 중요성NVIDIA GPU를 제대로 사용하려면 NVIDIA의 전용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Ubuntu는 기본적으로 **오픈소스 드라이버(Nouveau)**를 포함하지만, 성능과 기능 면에서 제한적입니다. 특히 RTX 3080과 같은 최신 그래픽 카드는 Nouveau 드라이버에서 제대로 지원되지 않습니다.NVIDIA의 전용 드라이버는 다음을 제공합니다:GPU .. 2025. 1. 19. 우분투 데스크탑 Ubuntu Desktop은 어떤 유저, 어떤 상황, 어떤 목적에서 적합할까? 설명해보았다. Ubuntu Desktop은 리눅스 배포판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배포판 중 하나로, 사용자 친화성, 오픈소스 생태계, 강력한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Windows와 macOS와는 다른 특성과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 및 상황에서 적합합니다. 아래에서는 Ubuntu Desktop이 적합한 사용자 유형, 상황, 그리고 목적을 3000자 정도로 자세히 설명합니다.1. Ubuntu Desktop이 적합한 유저(1) 개발자Ubuntu Desktop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에게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합니다.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 Ubuntu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중심에 있는 플랫폼으로, C, C++, Python, Java, Go, Rust 등 여러 언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웹.. 2025. 1. 19. TrueNAS에서 램 캐시 ARC, 쓰기 캐시 SLOG(ZIL), 읽기 캐시 L2ARC를 셋팅해보자 TrueNAS에서 ARC, SLOG, L2ARC를 설정하거나 관리하는 것은 ZFS의 성능 최적화를 위한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 각각의 요소는 TrueNAS의 기본 동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관리 인터페이스에서 직접 설정하는 방식은 제한적입니다. 아래는 각각의 구성 요소와 관련된 설정 및 관리 방법을 설명합니다.1. ARC (Adaptive Replacement Cache)ARC는 ZFS의 기본 메모리 캐시로, 사용 가능한 시스템 RAM을 활용해 읽기 성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TrueNAS에서 ARC 설정TrueNAS에서는 ARC 크기를 직접 설정하지 않고, 시스템 RAM을 기반으로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하지만, 고급 튜닝이 필요한 경우에는 sysctl 명령어를 사용하거나 Tunables를 통해 설.. 2025. 1. 19. ZFS의 root dataset을 SMB(삼바 공유)로 사용하기 TrueNAS에서 root dataset을 SMB(Windows 공유)로 직접 사용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권장되지 않으며, 몇 가지 제약으로 인해 어렵거나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설정을 통해 가능하게 만들 수는 있습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Root Dataset의 특징Root dataset은 ZFS 풀의 최상위 데이터셋으로, 풀 전체의 기본 구성을 나타냅니다.TrueNAS에서는 root dataset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파일, 구성 파일 및 다른 하위 데이터셋의 부모 역할을 합니다.보안 및 관리상 이유로 root dataset에 직접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공유 설정을 적용하지 않는 것이 기본 정책입니다.2. 기본적으로 SMB로 사용할 수 없는 이유보안 문제: Root data.. 2025. 1. 19. 파스타는 찬 물에 넣는게 좋을까? 끓는 물에 넣는게 좋을까? 파스타를 조리할 때 찬물에 넣고 가열하는 방식과 끓는 물에 넣는 방식은 조리 결과와 맛, 질감에 영향을 미칩니다. 두 가지 방법의 차이와 각각의 장단점, 어떤 상황에서 더 적합한지 등을 정도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전통적인 방식: 끓는 물에 넣기전통적으로 파스타는 끓는 물에 넣어 조리합니다. 이는 이탈리아 요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파스타를 알맞게 익히고 최상의 질감을 유지하는 데 이상적입니다.1.1. 끓는 물에서 조리하는 이유균일한 조리:끓는 물(보통 100°C)은 열이 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파스타 전체가 균일하게 익습니다.파스타는 밀가루로 만들어져 있기에, 익는 동안 겉면의 전분이 젤화됩니다. 끓는 물은 이 과정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도와줍니다.파스타가 달라붙지 않음:파스타를 끓는.. 2025. 1. 19. 블로그는 어떻게 접속 키워드나 경로, 방문자 수를 추적 할 수 있을까? 블로그나 웹사이트의 관리 페이지에서 트래커를 통해 방문자가 어떤 키워드로 어떤 사이트에서 접속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은 웹 분석 기술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HTTP 프로토콜, 브라우저 리퍼러(Referrer), UTM 파라미터, 쿠키, 스크립트 기반 추적 기술 등을 활용하여 작동합니다. 아래에서 3000자 정도로 이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HTTP 리퍼러(Referrer) 헤더HTTP 프로토콜에는 Referer(오타로 인해 Referrer가 아닌 "Referer"로 표기)라는 헤더가 존재합니다. 이 헤더는 사용자가 현재 페이지에 도달하기 직전에 방문했던 페이지의 URL 정보를 포함합니다.1.1. Referrer 헤더의 동작 원리사용자가 A 웹사이트에서 특정 링크를 클릭하여 B 웹사.. 2025. 1. 19. 웹사이트에 도메인이 아니라 아이피 주소(IP 주소)로 접속하려고 하면 차단 되는 이유 웹사이트에 IP 주소로 접속하려고 할 때 서버가 이를 차단하는 이유는 주로 보안, 성능, 그리고 운영 관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이를 3000자 정도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도메인 기반 호스팅현대의 웹 서버는 일반적으로 도메인 기반 가상 호스팅(Virtual Hosting)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 방식에서는 한 IP 주소에 여러 도메인을 연결하여 운영합니다.1.1. 가상 호스팅과 Host 헤더클라이언트(사용자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요청 헤더의 Host 필드를 통해 접속하려는 도메인을 서버에 전달합니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https://example.com에 접속하면 브라우저는 요청 헤더에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합니다:GET / HTTP/1.1 Host: example... 2025. 1. 19. TrueNAS에서 이중 인증 로그인 (2FA) 추가하기, 그 외 보안 강화하기 TrueNAS의 웹 인터페이스에 2FA(Two-Factor Authentication)를 설정하는 방법과 추가적인 보안 강화 방법을 아래에 자세히 설명합니다.1. TrueNAS 웹 인터페이스에서 2FA 설정하기TrueNAS는 관리 인터페이스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2FA를 지원합니다. 이를 설정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1.1. TrueNAS 웹 인터페이스에 로그인웹 브라우저를 열고 TrueNAS의 IP 주소(예: https://192.168.1.100)로 접속합니다.관리 계정(admin)으로 로그인합니다.1.2. 2FA 활성화시스템 설정(System Settings) 메뉴로 이동합니다.사용자 관리(Accounts) → **사용자(Users)**를 선택합니다.**관리 계정(admin)**을 클릭하여 설정.. 2025. 1. 19. Google Authenticator, Authy 류의 OTP 앱의 원리는 어떻게 될까? 알아보았다. Google Authenticator의 원리와 OTP 생성 과정Google Authenticator와 같은 OTP 앱은 TOTP (Time-Based One-Time Password) 알고리즘과 HOTP (HMAC-Based One-Time Password)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이 시스템은 RFC 6238 및 RFC 4226 표준에 정의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시간에 따라 유효한 일회성 비밀번호를 생성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인증의 보안성을 높입니다. 아래에서 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1. OTP 생성의 기본 원리(1) 공유 비밀 키(Secret Key)사용자가 Google Authenticator 앱을 처음 설정할 때, 서버는 고유의 비밀 키(Secret Key)를 생성합니다.이 키는.. 2025. 1. 19. USDT Tether (테더)의 안전성과 테더의 수익 구조, 루나처럼 망하지는 않을까? 전망은? USDT의 안전성과 테더의 수익 구조USDT(테더)는 대표적인 스테이블코인으로, 미국 달러에 1:1로 고정(Peg)된 암호화폐입니다. 스테이블코인은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USDT는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USDT의 안전성과 관련된 문제, 테더(Tether Limited)의 수익 구조, 그리고 잠재적인 리스크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USDT의 기본 원리(1) 스테이블코인의 개념USDT는 가치가 변동하지 않도록 설계된 스테이블코인입니다.테더는 1 USDT가 항상 1 USD의 가치를 가지도록 보장하려 합니다. 이를 위해 테더는 준비금(Reserves)을 유지하여 시장 신뢰를 유지합니다.(2) 준비금의 역할테더는 발행한 USDT의.. 2025. 1. 19. IEEE라는 것은 뭘까? IEEE의 규격은 뭐가 있을까? 설명해보았다. IEEE는 다양한 네트워킹과 통신 기술 표준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화 기구로, 802 시리즈는 주로 유선 및 무선 네트워킹 관련 표준을 다룹니다. 여기서는 대표적인 IEEE 802 시리즈와 그 외 주요 IEEE 표준들을 설명하겠습니다:1. IEEE 802.3 (Ethernet)설명: 이 표준은 유선 네트워크, 즉 이더넷 기술을 다룹니다. 이더넷은 LAN(Local Area Network) 기술의 핵심으로, 네트워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주요 사양:전송 매체: 구리 케이블, 광섬유속도: 초기 버전은 10 Mbps, 이후 Fast Ethernet (100 Mbps), Gigabit Ethernet (1 Gbps), 10 Gigabit Ethernet, 100 Gigabit Ethernet까지 .. 2025. 1. 17. 역대 와이파이 Wi-Fi 버전들을 전부 알아보자. 802.11 a/b/g/n/ac/ax/be 802.11 a/b/g/n/ac/ax/be는 Wi-Fi의 여러 표준을 나타내며, 각각은 서로 다른 속도, 대역폭, 기술적 진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표준의 출시 연도와 주요 기술적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1. 802.11 (1997)출시 연도: 1997최대 속도: 2 Mbps주파수 대역: 2.4 GHz특징: 초기 Wi-Fi 표준으로, 속도와 신뢰성이 매우 낮았습니다.2. 802.11b (1999)출시 연도: 1999최대 속도: 11 Mbps주파수 대역: 2.4 GHz특징: 저렴하면서도 가정과 기업에서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표준. 혼잡한 2.4 GHz 대역을 사용.3. 802.11a (1999)출시 연도: 1999최대 속도: 54 Mbps주파수 대역: 5 GHz특징: 5 GHz 대역을 사용해 속도는 빠르.. 2025. 1. 17. 와이파이 7 (Wifi-7) 802.11be는 기존 와이파이와 뭐가 다르고 특징이 뭘까? 알아보았다. 802.11be는 Wi-Fi 7로도 불리는 차세대 무선 통신 표준으로, 주로 초고속 데이터 전송과 초저지연, 다중 사용자 지원에 초점을 맞춘 기술입니다. 기존 802.11ax(Wi-Fi 6 및 6E)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기술이며,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과 차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주요 특징: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 46 Gbps802.11be는 최대 46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802.11ax의 최고 속도인 9.6Gbps에 비해 약 4.8배 더 빠릅니다.이를 위해 더 넓은 대역폭과 더 많은 채널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사용합니다.최대 320MHz 채널 대역폭802.11be는 기존 Wi-Fi 6에서 160MHz였던 최대 채널 대역폭을 320MHz로 확장합니다. .. 2025. 1. 17. 와이파이나 5G에서 언급되는 MIMO 기술에 대해 알아보자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는 와이파이나 5G 같은 무선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MIMO는 여러 개의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증가시키고 연결 안정성을 향상시킵니다.MIMO의 원리:MIMO 시스템은 여러 개의 안테나를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송신 측과 수신 측에 각각 다중 안테나를 배치함으로써, 여러 개의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속도와 네트워크 용량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Input (송신 안테나): 데이터를 여러 개의 안테나로 동시에 전송합니다.Output (수신 안테나): 각 .. 2025. 1. 17. 왜 5G에선 4G(LTE)와 다르게 FDD(주파수 기반)가 아닌 TDD(시간 기반)를 선택했을까? **TDD (Time Division Duplexing)**와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다운로드하는 기술입니다. 각각의 장단점과 5G에서 TDD를 사용한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TDD (Time Division Duplexing)작동 방식: TDD는 하나의 주파수 대역을 시간적으로 나누어 업로드와 다운로드에 사용합니다. 즉, 같은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을 구분해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번갈아가며 처리합니다.장점주파수 자원의 효율성: 업로드와 다운로드의 트래픽 비율에 따라 유연하게 시간을 배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가 더 많이 필요할 경우 다운로드에 더 많은 시간 슬롯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주파수 대역 절.. 2025. 1. 17. 배타적 논리합 (XOR, Exclusive OR) 연산에 대해 알아보자 XOR(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연산이란?XOR(Exclusive OR)은 논리 연산 중 하나로, 두 입력 값이 서로 **다를 때만 참(True)**을 반환하고, 같으면 거짓(False)을 반환하는 연산입니다. XOR은 컴퓨터 과학과 전자공학에서 매우 중요한 연산이며, 데이터 처리, 암호화, RAID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아래에서 XOR 연산의 기본 원리와 특징, 그리고 구체적인 응용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XOR 연산의 기본 원리XOR의 진리표는 다음과 같습니다:입력 A입력 B출력 (A XOR B)000011101110핵심 특징:두 입력 값이 다를 때 출력은 1(True).두 입력 값이 같을 때 출력은 0(False).XOR 연산은 대칭적이며, 즉 A XOR .. 2025. 1. 17. 고수(채소)의 맛이 사람 마다 다르게 느끼는 이유, 유전자 때문이라고? 고수(Coriander, 학명 Coriandrum sativum)를 먹었을 때 느끼는 맛과 향이 사람마다 다르게 인식되는 현상은 유전적 차이와 관련이 있습니다. 특정 유전자 변이가 고수의 주요 화학 성분을 독특하게 감지하게 하며, 이에 따라 고수를 "비누 같거나 주방세제 같은 맛"으로 느끼는 사람들이 존재합니다. 이 현상을 유전학적, 생화학적, 감각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고수의 화학 성분고수의 독특한 맛과 향은 주로 휘발성 화합물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 중 가장 중요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습니다:알데하이드류(aldehydes):데세날(decenal) 및 E-2-decenal: 강한 비누나 세제 같은 향을 유발.리날룰(linalool): 더 부드럽고 꽃 향기와 비슷한 특징을 가짐.알데하.. 2025. 1. 17. 컴퓨터 과학에 사용되는 리드 솔로몬 Reed-Solomon 코드에 대해 알아보보자 Reed-Solomon (RS) 코드는 오류 정정 코드 중 하나로, RAID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오류 발생 시 데이터를 복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Reed-Solomon 코드는 주로 여러 개의 데이터 블록에 대해 하나 이상의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합니다. RAID에서의 주요 활용은 주로 데이터 복구 및 오류 정정에서 발생하는데, 그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1. Reed-Solomon 코드의 원리Reed-Solomon 코드는 다항식 부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하며, 주로 프로젝트ive geometry를 사용합니다. 이 방식은 주어진 데이터를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그 데이터에 추가적인 패리티 블록을 추가하여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합니다.기본 원리Ree.. 2025. 1. 17. 가정용으로도 사용할만한 10Gbps(10기가) 이상 이더넷 규격을 알아보자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10Gbps보다 높은 네트워크 규격과 이를 위한 장비(NIC, 스위치, 케이블 등)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0Gbps보다 높은 규격10Gbps 이상의 속도를 제공하는 주요 네트워크 규격은 다음과 같습니다:1. 25GbE (25 Gigabit Ethernet)속도: 25Gbps특징: 데이터 센터에서 많이 사용하는 표준으로, 10Gbps 네트워크보다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장점:상대적으로 저렴한 NIC와 스위치 제공.가정용 고성능 NAS 또는 서버에 적합.케이블:DAC(Direct Attach Cable) 또는 Cat 8 케이블.SFP28(25GbE용 포트) 트랜시버를 사용하는 경우 광케이블도 가능.2. 40GbE (40 Gigabit Etherne.. 2025. 1. 17. 가정용 ZFS 나스(NAS)를 사용할 때 메모리의 XMP는 끄는게 좋을까? 설명해보았다. 가정용 컴퓨터에서 TrueNAS로 ZFS 시스템을 구성할 때, 메모리의 XMP(Extreme Memory Profile) 기능을 켜야 할지 말지는 안정성과 성능 요구 사항을 어떻게 균형 잡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아래에서 XMP의 장단점과 TrueNAS/ZFS 환경에서의 적합성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XMP란?XMP는 메모리 모듈의 공장 오버클럭 설정을 활성화하여 최적화된 속도, 타이밍, 전압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일반적으로 BIOS/UEFI에서 XMP를 활성화하면 메모리가 기본 JEDEC 표준 속도 대신 제조사가 권장하는 고성능 설정(예: 더 높은 클럭 속도, 낮은 타이밍)으로 작동합니다.예를 들어, 기본 클럭 속도가 2133MHz인 메모리가 XMP를 활성화하면 3200MHz 이상으로 작동할 수 .. 2025. 1. 17. ZFS 시스템에서 꼭 ECC 메모리가 필요할까? 설명해보았다 TrueNAS의 ZFS에서 ECC 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은 데이터 무결성과 안정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ECC 메모리는 데이터 처리 중 발생할 수 있는 메모리 오류를 탐지하고 자동으로 수정하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ZFS와 같은 데이터 무결성을 중시하는 파일 시스템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그러나 ECC 메모리가 필수적인지 여부는 사용하는 환경과 중요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에서 ECC 메모리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의 차이를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ECC 메모리가 있는 경우장점데이터 무결성 강화ZFS는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 블록마다 체크섬을 생성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검증합니다.ECC 메모리는 메모리 자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일 비트 오류를 수정하여 데이터 손상을 방지합니다.. 2025. 1. 17. 무료 나스(NAS) 운영체제 TrueNAS에 대해서 알아보자 TrueNAS란 무엇인가?TrueNAS는 iXsystems에서 개발한 네트워크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SAN(Storage Area Network)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데이터 저장, 공유, 백업 및 관리를 위한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반 스토리지 플랫폼입니다.TrueNAS는 오픈소스 파일 시스템 ZFS를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 무결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ZFS는 데이터 압축, 스냅샷, 복제, 오류 수정 기능 등 강력한 데이터 보호 및 관리 기능을 지원합니다.TrueNAS의 주요 기능 및 특징파일 공유 프로토콜 지원SMB/CIFS(Windows 공유), NFS(Linux/Unix), AFP(macOS), iS.. 2025. 1. 17. ZFS(TrueNAS등 )를 사용할 때 OS 디스크는 작은 용량을 사용해도 될까? TrueNAS의 운영 체제(OS)를 구동할 디스크로 32GB 디스크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안정성과 장기적인 확장성을 고려하면 몇 가지 고려사항이 있습니다.1. TrueNAS OS 디스크 용량 요구사항TrueNAS Core와 Scale 모두 운영 체제를 설치하는 데 최소 16GB의 디스크 공간이 필요하며, 32GB 이상의 용량을 권장합니다. 따라서 32GB 디스크는 설치 가능하지만, 다음을 고려해야 합니다:TrueNAS는 운영 체제를 ZFS 기반으로 설치하므로, 자체적으로 메타데이터와 로그를 관리하기 위해 추가적인 용량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향후 TrueNAS의 업데이트, 로그 증가, 기타 시스템 파일 때문에 여유 공간이 부족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2. 권장 디스크 크기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64GB.. 2025. 1. 17. ZFS(TrueNAS 등)에서 ZIL(Slog)와 L2ARC를 사용할때 OS를 구동하는 디스크를 같이 써도 될까? ZFS에서 NVMe SSD 2개를 **ZIL(SLOG)**과 L2ARC 용도로 사용하려고 한다면, TrueNAS의 운영 체제가 구동되는 디스크를 별도로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운영 체제 디스크와 ZIL/L2ARC 디스크를 분리하는 것이 성능과 안정성 면에서 더 바람직하기 때문입니다.이유:I/O 경합 방지ZIL(SLOG)과 L2ARC는 매우 빠른 디스크 I/O를 필요로 합니다. 운영 체제가 동일한 디스크에 있으면, 운영 체제와 ZIL/L2ARC 작업 간의 I/O 경합이 발생하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특히, ZIL은 동기식 작업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독립된 NVMe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운영 체제 안정성TrueNAS 운영 체제 디스크가 SLOG나 L2ARC로 사용되는 디스크와 공유되면, .. 2025. 1. 17. 레이드 (Raid) 10과 레이드 01의 차이는? 설명해보았다 RAID 10과 RAID 01은 디스크를 결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에서 구조적으로 다른 접근 방식을 사용하는 RAID 구성입니다. 둘 다 성능과 데이터 보호를 제공하지만, 데이터 복구 능력과 성능 측면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1. RAID 10 (1+0): "Mirroring and Striped"RAID 10은 **RAID 1(미러링)**과 **RAID 0(스트라이핑)**을 조합한 방식으로, 먼저 미러링을 수행한 뒤 스트라이핑을 적용합니다.구조RAID 10에서는 먼저 디스크를 2개씩 짝지어 미러링(복제)합니다.이후 미러링된 디스크들을 스트라이핑으로 결합해 데이터가 병렬로 기록됩니다.작동 방식예를 들어, 4개의 디스크가 있다면:디스크 1과 2는 서로 복제(미러링)되고,디스크 3과 4도 서로 복제.. 2025. 1. 17. 레이드 5 (Raid-5, Raid-Z1) 에서 디스크 두개가 동시에 고장날 확률은 얼마나 될까? RAID-Z1(RAID 5와 유사한 ZFS 패리티 기반 구성)에서 리빌딩 중에 두 번째 디스크가 고장날 확률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를 "디스크 고장 확률"과 "리빌딩 과정의 취약성"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1. 디스크 고장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1) 디스크의 신뢰성 (MTBF)디스크의 평균 고장 시간(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s)은 제조사가 보증하는 신뢰성을 나타냅니다.예: 보통 하드디스크는 MTBF가 1백만 시간 이상으로 표기되지만, 이는 실제 사용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일반적인 경우, RAID-Z1에 사용되는 디스크들은 같은 시기에 구매되고, 동일한 환경에서 사용되므로 비슷한 수명을 가질 가능성이 높습니다.즉, 하나의 디스크가 .. 2025. 1. 17. 안드로이드 휴대폰이나 태블릿으로 ZFS NAS나 일반 NAS를 만들 수 있을까? 안드로이드 태블릿을 활용해 ZFS NAS나 일반 NAS를 구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약 사항과 복잡성이 뒤따릅니다. 루팅이 허용된다는 조건에서 가능한 방법과 구현 방식, 제약 사항 등을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안드로이드 태블릿으로 NAS 구축 가능성안드로이드 태블릿은 기본적으로 ARM 아키텍처의 모바일 기기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NAS 서버와 같은 고성능 네트워크 스토리지 시스템을 구현하려면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특히, ZFS는 높은 메모리 사용량과 강력한 CPU 성능을 요구하므로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의 구현은 도전적인 작업이 될 수 있습니다.가능성 여부:ZFS 기반 NAS: 가능은 하지만 어려움이 많음. ZFS는 메모리 자원을 많이 소비하며, ARM 기반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실행하.. 2025. 1. 17. 최첨단 파일 시스템 ZFS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반 파일 시스템과 다른 점은? ZFS란 무엇인가?ZFS(Zettabyte File System)는 Sun Microsystems에서 개발한 고성능 파일 시스템이자 볼륨 매니저입니다. 현재는 OpenZFS라는 이름으로 유지 및 개발되고 있으며, 데이터 무결성, 확장성, 효율성, 유연성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파일 시스템입니다. ZFS는 기존 파일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매우 독특한 구조와 기능을 제공하며, 데이터 저장, 보호 및 관리 방식에서 차별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ZFS의 주요 특징통합 파일 시스템과 볼륨 매니저전통적인 파일 시스템은 볼륨 매니저(LVM) 위에 파일 시스템을 추가로 설정해야 하지만, ZFS는 파일 시스템과 볼륨 매니저를 통합하여 별도의 계층을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이 통합 구조로 인해 스토리지 풀(Storage .. 2025. 1. 17. 데이터 저장 기술 JBOD (Just a Bunch of Disks) 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JBOD (Just a Bunch of Disks)란?JBOD는 "Just a Bunch of Disks"의 약자로, 여러 개의 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묶어서 하나의 논리적인 볼륨으로 구성하는 디스크 배열 방식입니다. RAID처럼 데이터 스트라이핑(striping)이나 패리티(parity) 보호가 없는 단순한 디스크 배열입니다. JBOD는 데이터 보호나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단순히 여러 디스크를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JBOD는 파일 시스템이나 스토리지 관리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하며, 운영 체제가 여러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다만, RAID와 달리 디스크 간 데이터 복제나 패리티 체크는 없습니다.JBOD의 장점저렴한 구현 비용JBOD는 RAID 컨트롤러가.. 2025. 1. 17.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