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생활

데이터 장기보관, 하드디스크가 유리할까? SSD가 유리할까?

by 우물 밖 개구리. 2024. 12. 30.
반응형

 

콜드 스토리지에서 SSD와 HDD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용도와 비용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하지만 현재 기준으로 콜드 스토리지는 HDD가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1. 콜드 스토리지란?

  • 콜드 스토리지: 자주 접근하지 않는 데이터(장기 보관용)를 저장하는 공간
  • 데이터는 수개월, 수년 동안 거의 읽거나 수정하지 않으며, 필요할 때만 접근합니다.

2. SSD와 HDD 비교 – 콜드 스토리지 용도에서의 차이

항목HDDSSD

TB당 비용 매우 저렴 (약 $15~25/TB) 비쌈 (약 $100~200/TB)
저장 용량 최대 26TB (3.5인치) 최대 61.44TB
전력 소비 높음 (회전 플래터) 매우 낮음 (비활성 상태에서 전력 소비 거의 없음)
발열 및 냉각 발열 큼, 냉각 필요 발열 적음, 냉각 비용 절감
내구성 (오랜 시간 미사용) 장기 보관 가능 (데이터 안정성 높음) 미사용 상태에서 셀 누락 위험 (데이터 손상 가능성 있음)
속도 느림 (150MB/s ~ 250MB/s) 빠름 (500MB/s ~ 7GB/s 이상)
랙 공간 효율성 낮음 (큰 공간 필요) 높음 (동일한 공간에서 더 많은 용량)
수명 오래감 (수십 년 데이터 보관 가능) 쓰기 횟수 제한 (수명 짧음)

3. 왜 콜드 스토리지는 HDD가 유리한가?

1. TB당 비용 차이

  • 콜드 스토리지의 핵심은 저장 용량 대비 비용을 최소화하는 것.
  • HDD는 SSD보다 TB당 가격이 5~10배 저렴합니다.
  • 데이터센터에서 수백 페타바이트(PB) 단위로 저장해야 할 경우, HDD 사용이 훨씬 경제적입니다.

2. 데이터 안정성 (Long-Term Retention)

  • HDD는 10~20년 이상 안정적으로 데이터 보관 가능.
  • SSD는 전원을 끈 상태에서 오랜 시간이 지나면 **데이터가 휘발(셀 누락)**될 수 있습니다.
    • 특히 MLC, TLC, QLC SSD는 셀 누락 위험이 높음.
    • 전력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수년 내 데이터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3. 용량 확장성 (Scalability)

  • 3.5인치 HDD는 최대 26TB이며, 한 랙에 수백 개의 HDD를 장착해 페타바이트(PB) 단위로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 반면, SSD는 고용량 제품이 나오더라도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대량 확장이 어렵습니다.

4. SSD의 콜드 스토리지 적용 가능성

  • SSD의 장점은 전력 소비가 적고, 공간 효율성이 뛰어나며 발열이 적다는 것입니다.
  • 데이터센터에서 공간과 전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할 때 SSD가 콜드 스토리지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최근 QLC SSD는 저렴하게 대량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일부 콜드 스토리지에서 SSD가 사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

  • AWS는 콜드 데이터 저장소로 QLC 기반 SSD를 일부 사용합니다.
  • 하지만 TB당 비용은 여전히 HDD보다 높기 때문에, 핫 데이터를 위한 스토리지와 티어드 시스템으로 활용됩니다.

5. 데이터센터에서 HDD와 SSD의 하이브리드 콜드 스토리지

  • 핫 데이터(자주 사용) – SSD 사용
  • 웜 데이터(중간 빈도 사용) – HDD 사용
  • 콜드 데이터(거의 사용하지 않음) – 대용량 HDD 또는 테이프(Tape) 사용

6. 테이프(Tape) – 콜드 스토리지의 숨은 강자

  • LTO 테이프는 콜드 스토리지에서 여전히 많이 사용됩니다.
  • 테이프는 TB당 비용이 HDD보다 낮으며, 30년 이상 데이터 보관이 가능합니다.
  • 대기업은 콜드 데이터 백업용으로 LTO 테이프를 사용합니다.

결론 – HDD vs SSD (콜드 스토리지)

  • 현재 콜드 스토리지에서는 HDD가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 SSD는 데이터 접근 빈도가 약간 높은 웜 데이터 영역에서 사용됩니다.
  • 데이터센터에서는 HDD와 SSD를 티어드 방식으로 혼합 사용하며,
    장기 데이터 보관은 테이프까지 포함한 다층 스토리지 구조가 일반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