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생활

CRT(브라운관) 모니터를 카메라로 찍으면 왜 이상한 줄이 생길까?

by 우물 밖 개구리. 2024. 12. 30.
반응형

CRT 모니터를 카메라로 찍을 때 깜빡이는 이유는 CRT의 주사 방식과 **카메라의 프레임 속도(FPS)**가 서로 동기화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1. CRT의 동작 원리

CRT(브라운관) 모니터는 인터레이스 또는 프로그레시브 방식으로 화면을 표시합니다.

  • 전자총(Electron Gun)이 **위에서 아래로 빠르게 주사(Scanning)**하며 화면을 한 줄씩 그리는 방식입니다.
  • 한 번에 전체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마다 수십~수백 번씩 반복됩니다.
  • 60Hz CRT는 **1초에 60번 화면을 다시 그리는 주사율(Refresh Rate)**을 가집니다.

👉 인간의 눈은 이러한 깜빡임을 감지하지 못하지만, 카메라는 프레임 단위로 화면을 캡처하기 때문에 CRT의 깜빡임이 드러납니다.


2. 카메라와 CRT 주사율 불일치

  • 카메라의 프레임 속도는 24fps, 30fps, 60fps 등 고정되어 있습니다.
  • CRT의 주사율은 60Hz, 75Hz, 85Hz 등 다양합니다.

예시:

  • 60Hz CRT 모니터를 30fps 카메라로 촬영하면,
    • CRT는 1초에 60번 깜빡임
    • 카메라는 1초에 30번 캡처
    • 따라서 CRT의 깜빡임 중 일부만 카메라에 잡히거나 누락됩니다.
    • 이 과정에서 **화면의 일부가 밝게, 일부가 어둡게 보이는 현상(수평 깜빡임)**이 발생합니다.

3. 깜빡임의 원리

  • 카메라가 CRT의 주사 과정 중 일부만 기록하기 때문에,
    • 화면의 윗부분은 밝게,
    • 중간이나 아랫부분은 어둡게 나타납니다.
  • 이를 **롤링 셔터 효과(Rolling Shutter Effect)**와 비슷하게 볼 수 있습니다.

4. 깜빡임 해결 방법

셔터 속도 조정

  • 카메라의 셔터 속도를 CRT의 주사율과 맞추면 깜빡임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예: 60Hz CRT → 셔터 속도를 1/60초로 설정
    • 75Hz CRT → 셔터 속도 1/75초

프레임 속도 조정

  • 카메라의 프레임 속도를 CRT와 동기화합니다.
    • 60Hz CRT → 60fps로 촬영

라즈베리 파이 카메라 같은 동기화 장비 사용

  • 일부 고급 장비는 디스플레이 주사율에 맞춰 자동으로 동기화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5. 왜 LCD/LED에서는 깜빡이지 않을까?

  • LCD/LED는 화면을 즉시 갱신하는 방식으로, 화면 전체가 동시에 업데이트됩니다.
  • 따라서 화면이 깜빡이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 CRT는 순차적으로 화면을 그리는 방식이지만, LCD/LED는 화면 전체를 한 번에 업데이트하는 차이 때문입니다.


6. 정리

CRT 모니터는 순차 주사 방식 때문에 카메라와 동기화되지 않으면 깜빡입니다.

  • CRT의 주사율과 카메라의 프레임 속도 불일치가 주요 원인입니다.
  • 카메라의 셔터 속도나 프레임 속도를 조정해 CRT의 깜빡임을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