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파(SW) 방송과 아마추어 무선의 주파수 대역 차이
단파(SW, Shortwave) 방송과 아마추어 무선(햄 무선)은 모두 단파(SW) 주파수 대역(3~30MHz)에서 운영되지만, 사용 목적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다르다.
1. 단파(SW) 방송 대역
SW 방송(국제 단파 방송)은 **국제 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정한 방송(Broadcasting) 전용 주파수에서 이루어진다.
이는 세계 각국의 방송국이 장거리 청취자를 대상으로 송출하는 국제 방송으로, 일반적인 상업 방송이나 공영 방송(BBC, VOA, NHK 등)이 포함된다.
대역명 | 주파수(MHz) | 설명 |
120m 밴드 | 2.3~2.495 MHz | 열대 지역용 야간 방송 |
90m 밴드 | 3.2~3.4 MHz | 주로 아프리카, 남미용 방송 |
75m 밴드 | 3.9~4.0 MHz | 제한적인 방송 대역 |
60m 밴드 | 4.75~5.06 MHz | 저주파 장거리 전파 특성 |
49m 밴드 | 5.9~6.2 MHz | 전세계 야간용 방송 |
41m 밴드 | 7.2~7.45 MHz | 낮과 밤 모두 사용 가능 |
31m 밴드 | 9.4~9.9 MHz | 낮과 밤 모두 사용 가능 |
25m 밴드 | 11.6~12.1 MHz | 낮과 밤 모두 사용 가능 |
22m 밴드 | 13.57~13.87 MHz | 낮 방송 |
19m 밴드 | 15.1~15.8 MHz | 낮 방송 |
16m 밴드 | 17.48~17.9 MHz | 낮 방송 |
13m 밴드 | 21.45~21.85 MHz | 낮 방송 |
11m 밴드 | 25.6~26.1 MHz | 낮 방송, 사용 적음 |
📌 특징:
- 국가별, 지역별, 계절별로 방송 주파수가 다름 (예: 겨울철에는 낮은 주파수, 여름철에는 높은 주파수가 유리함)
- 전리층 반사(스카이웨이브, Skywave)를 이용하여 지구 반대편까지 송출 가능
- 대부분 AM(Amplitude Modulation) 방식 사용
- 송신 출력이 매우 높음 (최대 500kW 이상 가능)
2. 아마추어 무선(햄 라디오) 주파수 대역
아마추어 무선(Amateur Radio)은 무선통신 실험, 교신, 연구, 비상통신 등을 위한 대역으로, ITU와 각국 정부가 정한 특정 대역을 사용한다.
단파(SW) 아마추어 밴드는 다음과 같다.
대역명 | 주파수(MHz) | 설명 |
160m 밴드 | 1.8~2.0 MHz | 야간 장거리 통신 |
80m 밴드 | 3.5~4.0 MHz | 야간 통신, 중거리 |
60m 밴드 | 5.3515~5.3665 MHz | 제한적 사용 |
40m 밴드 | 7.0~7.3 MHz | 국제 통신, 야간 주력 밴드 |
30m 밴드 | 10.1~10.15 MHz | CW, 디지털 모드 전용 |
20m 밴드 | 14.0~14.35 MHz | 주간/야간 전세계 교신 |
17m 밴드 | 18.068~18.168 MHz | 낮 통신, 중거리 |
15m 밴드 | 21.0~21.45 MHz | 낮 통신, 장거리 교신 |
12m 밴드 | 24.89~24.99 MHz | 낮 통신, 중거리 |
10m 밴드 | 28.0~29.7 MHz | 낮, 단거리 및 장거리 교신 |
📌 특징:
- 송출 목적이 방송이 아니라 개인 간 교신, 실험, 긴급통신 등에 있음
- 전파법에 의해 면허를 취득한 사람만 송출 가능
- 출력은 보통 수십~수백W 수준 (일반적으로 100W 이하, 특별 허가 시 1kW까지 가능)
- 모드 다양 (AM, SSB, CW, 디지털 모드 등 사용)
- 10m 밴드(28~29.7MHz)는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전리층 반사를 이용한 장거리 통신 가능
3. SW 방송과 아마추어 무선 대역 비교
구분 | SW 방송 | 아마추어 무선 |
목적 | 국제 방송, 뉴스, 정보 제공 | 개인 간 교신, 비상통신, 실험 |
주파수 대역 | 2.3~26.1MHz (ITU 지정 방송 대역) | 1.8~29.7MHz (ITU 지정 아마추어 밴드) |
전파 방식 | AM 주파수 변조 | AM, SSB, CW, 디지털 모드 |
출력 | 수십~수백 kW (최대 500kW 이상) | 보통 100W, 최대 1kW (특수 허가) |
전파 특성 | 전리층 반사 이용, 지구 반대편까지 송출 | 전리층 반사 이용, 장거리 교신 가능 |
면허 여부 | 일반 청취 가능 | 송출하려면 아마추어 무선 면허 필요 |
4. 결론: SW 방송과 아마추어 무선은 다르다!
✅ SW 방송과 아마추어 무선은 같은 단파(SW)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할당된 주파수가 다름
✅ SW 방송은 방송 전용 대역에서 정부나 기업이 운영하는 방송국이 송출
✅ 아마추어 무선은 개인이 특정 허가받은 대역에서 교신하는 용도
✅ 출력 차이가 크며, SW 방송은 최대 500kW 이상 가능하지만 아마추어 무선은 1kW 정도가 일반적
✅ 두 시스템은 서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간섭 가능)
즉, 아마추어 무선 대역과 SW 방송 대역은 명확히 나뉘어 있으며, 단순히 "단파"라는 이유로 같은 대역에서 운영되는 것은 아니다.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VC(Versatile Video Coding) 코덱의 개발 현황 및 인코더, 라이선스 문제 (0) | 2025.02.13 |
---|---|
라디오 송신탑 근처에서 풀이나 소시지를 가져다 대었을 때 연기가 나면서 타고, 동시에 라디오 소리가 들리는 현상은 사실일까? (0) | 2025.02.08 |
500kW급 SW 또는 AM 송신탑 근처에서 인체에 미치는 영향 (0) | 2025.02.08 |
전리층(Ionosphere)과 라디오 전파 전파 현상 설명 (0) | 2025.02.08 |
FM, AM, SW 송신국의 출력 차이: 왜 이렇게 큰 차이가 날까?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