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S5와 같은 콘솔 기기에서도 발열 통제 실패 시 성능 저하(쓰로틀링)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설계와 사용 환경의 차이로 인해 PC와는 약간 다른 방식으로 대응하거나, 그런 상황이 덜 발생하도록 설계됩니다.

콘솔 기기와 PC의 차이

  1.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통합 설계
    • PS5와 같은 콘솔은 고정된 하드웨어에 최적화된 소프트웨어로 동작하기 때문에 열 관리가 설계 단계에서 철저히 고려됩니다.
    • CPU와 GPU가 동일한 칩(APU) 내에 통합되어 있고, 전력 사용량과 발열이 제한되도록 설계됩니다.
  2. 전력 예산 및 성능 관리
    • PS5는 전력 예산을 정해놓고 그 범위 안에서 CPU와 GPU의 성능을 동적으로 조정합니다.
    • 예를 들어 GPU에 높은 부하가 걸리면 CPU의 클럭 속도를 낮춰 발열과 전력을 제한하는 식으로 관리합니다. 이를 **"부스트 클럭 관리"**라고도 합니다.
  3. 발열 설계와 냉각 시스템
    • 콘솔 기기는 정해진 섀시와 냉각 시스템에 맞게 설계되므로 열 방출과 흡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됩니다.
    • PS5의 경우, 큰 히트싱크, 액체 금속 서멀 컴파운드, 강력한 팬 설계로 발열 문제를 줄이려고 합니다.

PS5에서 쓰로틀링 가능성

  • 쓰로틀링이 발생할 경우
    PS5가 발열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면, CPU와 GPU의 클럭 속도를 자동으로 낮춰 전력 소비와 발열을 줄이게 됩니다.
    다만, 이는 PC와 달리 사용자가 클럭 속도를 직접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게임의 프레임 레이트가 일시적으로 떨어지거나 그래픽 품질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PS5 설계 특성상 쓰로틀링 가능성 낮음
    PS5는 발열 통제가 어렵지 않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정상적인 환경에서는 쓰로틀링이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 방에 통풍이 잘되지 않거나,
    • 먼지가 냉각 팬을 막거나,
    • 콘솔이 과열될 정도로 장시간 작동하면 쓰로틀링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PS5와 같은 콘솔도 쓰로틀링 메커니즘을 통해 발열을 관리하며, PC처럼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발열 관리가 설계에 철저히 반영되어 있고, 사용 환경만 적절히 유지한다면 이런 상황이 드뭅니다.
정상 사용 시에는 PC보다 쓰로틀링 문제에 덜 민감한 시스템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우물 밖 개구리.

우물 밖 개구리의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