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라운드 시스템에서는 풀레인지 스피커를 연결해도 서브우퍼가 베이스 주파수를 담당하도록 조정됩니다. AV 리시버나 앰프는 서브우퍼를 사용할 때 저음을 서브우퍼에 우선적으로 분배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과정을 베이스 매니지먼트라고 하며, 이를 통해 전체 시스템이 더 효율적으로 저음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리로 작동합니다:

1. 크로스오버 설정

AV 리시버는 보통 80Hz에서 120Hz 사이에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설정해, 이 주파수 이하의 저음 신호는 서브우퍼로 보내고 그 이상의 주파수는 풀레인지 스피커로 보냅니다. 이렇게 하면 서브우퍼가 저음을 효과적으로 재생하고, 풀레인지 스피커는 중음과 고음에 더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풀레인지 스피커 자체는 저음을 재생할 수 있지만, 서브우퍼가 더 적합한 저음 출력을 담당하게 되므로 저음 출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2. 저음 분리의 효율성

풀레인지 스피커가 저음과 고음을 모두 재생할 수 있지만, 저음은 서브우퍼가 훨씬 더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영역입니다. 서브우퍼는 저주파 대역을 더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풀레인지 스피커에 저음을 맡기기보다 서브우퍼에 집중시키는 것이 저음을 더 깔끔하고 강력하게 전달하는 데 유리합니다.

3. 자동 캘리브레이션의 영향

앞서 설명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YPAO, Audyssey 등)을 사용하면, 리시버가 자동으로 스피커의 주파수 응답을 측정하고 각 스피커의 주파수 범위를 서브우퍼와 다른 스피커 간에 최적화하여 분배합니다. 따라서 풀레인지 스피커라 해도 리시버가 저음의 부담을 줄여 중고음 재생에 집중하도록 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필요에 따른 크로스오버 조정 가능

만약 풀레인지 스피커에서 더 많은 저음을 원한다면, AV 리시버의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낮추어 조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크로스오버를 60Hz로 설정하면, 풀레인지 스피커가 더 많은 저음을 재생하게 하고 서브우퍼는 초저음에 집중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은 서라운드 환경의 음향 밸런스를 해칠 수 있어 일반적으로는 서브우퍼에 저음을 맡기는 것이 권장됩니다.

결론

서라운드 시스템에서는 풀레인지 스피커를 사용해도 서브우퍼가 주로 저음을 담당하므로, 풀레인지 스피커는 저음 부담이 줄어듭니다. 이는 전체 시스템이 더 효율적으로 저음과 고음을 나누어 재생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서라운드 스피커 용도로 북쉘프 스피커를 고려할 때는, 저음의 최저 주파수 응답을 크게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서라운드 스피커는 보통 영화나 음악에서 환경음, 효과음, 잔잔한 배경 사운드 등을 담당하며, 메인 스피커나 서브우퍼처럼 강력한 저음을 재생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왜 저음 응답이 덜 중요한지

  1. 역할 분담: 서라운드 시스템에서는 메인 프론트 스피커서브우퍼가 주로 저음과 중심적인 사운드를 담당하고, 서라운드 스피커는 공간감을 살리는 보조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저음이 많은 신호는 리시버의 베이스 매니지먼트에 의해 서브우퍼로 전달되므로, 서라운드 스피커가 낮은 Hz까지 재생할 필요가 거의 없습니다.
  2. 공간감 형성을 위한 중고음 재생: 서라운드 스피커는 영화의 효과음, 환경음, 앰비언스 사운드 등 공간감 형성에 중요한 소리를 재생합니다. 이들 소리는 주로 중고음 대역에서 이루어지므로, 서라운드 스피커는 중고음의 선명도와 정확성이 중요하지 저음 재생 능력은 덜 중요합니다.
  3. 작은 방 크기와 저음의 분배: 특히 방의 크기가 10제곱미터 정도로 작다면, 서라운드 스피커가 저음을 내는 것이 오히려 소리가 울리고 혼탁해질 위험이 있습니다. 서라운드 스피커가 저음 재생에 집중하지 않고, 중고음을 잘 소화해 주는 편이 전체적인 사운드 퀄리티와 공간감을 살리는 데 유리합니다.

서라운드 스피커 선택 시 고려할 사항

따라서 서라운드 스피커로 북쉘프 스피커를 선택할 때는 저음 주파수 응답보다는 중고음의 선명도, 음장감, 그리고 스피커의 감도와 임피던스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요소들이 특히 유용합니다:

  • 중고음의 선명도: 대사와 효과음, 주변 사운드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중고음 재생 능력.
  • 스피커의 감도(Sensitivity): 감도가 높으면 낮은 볼륨에서도 소리를 잘 전달하므로 서라운드 시스템에서 일관된 음량을 유지하기 쉽습니다.
  • 임피던스와 리시버 호환성: 리시버와 적합한 임피던스를 갖춘 스피커를 선택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합니다.

결론

서라운드 스피커 용도로는 저음 응답이 아주 낮은 스펙이 필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중고음의 선명도와 공간감 재생 능력을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우물 밖 개구리.

우물 밖 개구리의 블로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