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생활

NFS와 iSCSI의 네트워크 범위: 로컬 vs 인터넷

by 우물 밖 개구리. 2025. 3. 16.
반응형

NFS와 iSCSI의 네트워크 범위: 로컬 vs 인터넷

1. NFS(Network File System)

  • 로컬 네트워크(LAN)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 가능
  • 인터넷을 통해서도 사용 가능하지만, 보안 이슈 존재

🔹 기본적인 특징

  • 주로 사내 네트워크(LAN, VPN) 에서 사용됨
  • TCP/UDP 2049 포트 사용
  • 클라이언트가 NFS 서버의 공유 디렉토리를 마운트하여 로컬 폴더처럼 사용

🔹 인터넷을 통한 사용 가능 여부

  • 기본적으로 비보안 프로토콜보안 설정 없이 인터넷에서 직접 사용하면 위험
  • 인터넷에서 사용하려면 SSH 터널링, VPN, Kerberos 인증, TLS 암호화 필요
  • AWS, GCP 같은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인터넷 기반 NFS 지원 가능 (보안 그룹 설정 필요)

🔹 인터넷 사용 예시
가능:

  • VPN을 통한 사설 네트워크 연결
  • SSH 터널링을 통한 마운트 (sshfs 사용 추천)
  • 클라우드 서비스 (예: AWS EFS, Google Filestore 등)

비추:

  • 공개 인터넷에 직접 노출된 상태에서 사용 (포트 2049 개방 금지!)

2. iSCSI (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

  • 본래 "인터넷을 통한 SCSI 프로토콜"이므로 원격(인터넷) 사용 가능
  • 하지만 보안 설정이 없으면 데이터가 무방비 상태
  • 로컬 및 인터넷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보안 조치 필수

🔹 기본적인 특징

  • 블록 스토리지 프로토콜 → 공유 폴더가 아니라 원격 디스크를 직접 마운트
  • TCP 포트 3260 사용
  • NFS/Samba처럼 파일 공유가 아니라, 로컬 디스크처럼 직접 접근 가능

🔹 인터넷을 통한 사용 가능 여부

  • 본래 목적 자체가 인터넷 기반 블록 스토리지
  • iSCSI는 보안 기능이 부족하므로, 암호화 및 인증 설정 필수
  • VPN, TLS, CHAP 인증, IP 제한 등을 통해 보호 필요

🔹 인터넷 사용 예시
가능:

  • VPN을 통해 보안 네트워크 연결 후 사용
  • TLS(SSL) 암호화 적용 후 사용
  • 클라우드 스토리지 (AWS EBS, Azure Disk, GCP Persistent Disk 등)에서 iSCSI 지원

비추:

  • 공개 인터넷에서 직접 iSCSI 연결 (포트 3260 개방 금지!)
  • 비보안 네트워크에서 iSCSI를 사용하면 데이터 유출 위험

🔥 3. NFS vs iSCSI: 인터넷 사용 가능 여부 비교

 

항목
 NFS  iSCSI
기본 사용 환경 로컬 네트워크 (LAN, VPN) 로컬 및 원격 모두 가능
인터넷 사용 가능 여부 가능하지만 비추천 (VPN, SSH 필요) 가능하지만 보안 조치 필수
보안 조치 필요 여부 VPN, SSH, Kerberos 필요 TLS, CHAP, VPN 필요
공개 인터넷 사용 위험 (2049 포트 개방 금지) 위험 (3260 포트 개방 금지)
클라우드 지원 여부 AWS EFS, Google Filestore 등 AWS EBS, Azure Disk 등

결론

1️⃣ 로컬에서만 사용한다면 → 기본 설정 그대로 사용 가능
2️⃣ 인터넷에서도 사용하고 싶다면

  • NFS: SSH 터널링, VPN, TLS 적용 필수
  • iSCSI: TLS 암호화, CHAP 인증, VPN 사용 필수
    3️⃣ 클라우드에서는 인터넷 기반으로 사용 가능
  • AWS EFS, Google Filestore (NFS) / AWS EBS, Azure Disk (iSCSI)

👉 결론적으로 인터넷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강력한 보안 설정이 필요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