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생활

3.5인치 HDD 3개 스트라이핑(RAID 0) vs SATA SSD 비교

by 우물 밖 개구리. 2025. 3. 16.
반응형

3.5인치 HDD 3개 스트라이핑(RAID 0) vs SATA SSD 비교

HDD와 SSD의 성능 차이는 단순히 연속 읽기/쓰기 속도뿐만 아니라, IOPS(입출력 작업 처리 속도), 지연시간(latency), 내부 아키텍처, 신뢰성 등 다양한 요소에서 차이가 난다. 여기서는 3개의 3.5인치 HDD를 RAID 0(Stripe)로 구성했을 때의 성능과 일반적인 SATA SSD를 비교하면서 속도, IOPS, 응답 시간 등을 심층 분석한다.


1. 기본 개념

1.1 HDD 3개 스트라이핑(RAID 0)

RAID 0(스트라이핑)은 여러 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식이다.

  • 속도 증가: 여러 개의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고 쓰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디스크 개수만큼 속도가 증가
  • 용량 증가: RAID 0는 모든 디스크의 용량을 합산하여 하나의 볼륨으로 사용
  • 신뢰성↓: 단 하나의 디스크라도 고장 나면 전체 데이터가 손실됨

예를 들어, 3개의 HDD를 RAID 0로 구성하고 각 HDD의 연속 읽기 속도가 200MB/s라면,
이론적인 최대 속도600MB/s (3 × 200MB/s)


1.2 SATA SSD

일반적인 SATA SSD는 단일 디스크로 동작하며, RAID 0처럼 여러 개의 디스크에 데이터 분산을 하지 않지만,
HDD보다 내부 구조(플래시 메모리 + 컨트롤러) 자체가 빠름

  • 속도 증가: 기존 HDD보다 연속 읽기/쓰기 속도와 IOPS 성능이 압도적으로 높음
  • 신뢰성↑: HDD보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고장 확률이 낮음

대표적인 SATA SSD의 연속 읽기 속도는 약 500~550MB/s 수준


2. 속도 비교 (Sequential Read/Write)

 

비교 항목  HDD 1개  HDD 3개 (RAID 0)  SATA SSD (일반)
연속 읽기 속도 150~200MB/s 450~600MB/s 500~550MB/s
연속 쓰기 속도 130~180MB/s 390~540MB/s 450~500MB/s

결론: RAID 0로 묶은 HDD 3개는 일반적인 SATA SSD와 유사한 연속 읽기 속도를 낼 수 있음
→ 하지만 연속 읽기/쓰기 속도만으로 저장장치 성능을 평가하면 안 됨. IOPS와 응답 시간(레이턴시)에서 차이가 매우 큼


3. IOPS (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비교

IOPS는 작은 파일을 얼마나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랜덤 액세스 성능과 직접적으로 관련됨.

 

비교 항목  HDD 1개  HDD 3개 (RAID 0)  SATA SSD
랜덤 읽기 IOPS (4K) 100~200 300~600 75,000~100,000
랜덤 쓰기 IOPS (4K) 150~300 450~900 80,000~95,000

결론: HDD 3개를 RAID 0로 묶어도 SATA SSD의 IOPS 성능에는 한참 못 미침
→ 특히, 작은 파일(4KB 등) 랜덤 읽기/쓰기 성능은 SSD가 100배 이상 빠름


4. 응답 시간 (Latency)

스토리지의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지연시간(latency) 이다.

  • HDD는 기계식 플래터 회전 + 헤드 이동 때문에 지연시간이 길다
  • SSD는 전자적인 NAND 플래시 기반으로 동작하여 지연시간이 극도로 낮음

 

비교 항목  HDD 1개  HDD 3개  (RAID 0)  SATA SSD
랜덤 읽기 지연시간 10~15ms 7~12ms 0.1ms 이하
랜덤 쓰기 지연시간 8~12ms 5~10ms 0.1ms 이하

결론: HDD를 RAID 0로 묶어도 근본적으로 회전 지연 및 헤드 이동 시간은 그대로 남아 있음
→ 따라서 SSD 대비 체감 성능 차이가 큼


5. 내구성 및 신뢰성

 

비교 항목  HDD (RAID 0)  SATA SSD
내구성 RAID 0 구성 시 디스크 하나만 고장 나도 전체 데이터 손실 SSD는 RAID 없이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며, HDD 대비 내구성 우수
MTBF (평균 무고장 시간) 100만~150만 시간 150만~200만 시간
TBW (총 쓰기 용량) HDD는 기록 방식 차이로 TBW 개념이 없음 SSD는 TBW 한계 존재하지만 일반적인 사용에서는 큰 문제 없음

HDD 3개 RAID 0는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높고, SSD가 신뢰성 면에서 훨씬 우수함


6. 전력 소비량

 

비교 항목  HDD (RAID 0, 3개)  SATA SSD (1개)
평균 소비 전력 20~30W (HDD 1개당 6~10W) 3~5W
발열량 상대적으로 높음 낮음

전력 효율 면에서도 SSD가 훨씬 우수함


7. 실제 사용 사례에서의 차이점

HDD 3개 RAID 0가 유리한 경우

  • 대용량 스토리지가 필요할 때 (HDD 3개로 12TB 이상 확보 가능)
  • 순차 읽기/쓰기 작업이 많은 환경 (예: 대형 비디오 파일 저장, 원본 영상 편집 등)
  • 비용이 중요할 때 (HDD는 TB당 비용이 SSD보다 저렴)

SATA SSD가 유리한 경우

  • 일반적인 데스크톱/서버 환경 (OS 부팅,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베이스 운영)
  • 랜덤 액세스 성능이 중요한 작업 (예: 게임 로딩, VM 운영, 웹 서버, DB 서버 등)
  • 저소음, 저전력, 저발열이 필요한 환경

결론

 

비교 요소  HDD 3개 RAID 0 SATA SSD
연속 읽기/쓰기 속도 SSD와 유사 빠름
IOPS (랜덤 읽기/쓰기 속도) SSD에 비해 한참 부족 매우 높음
지연시간(Latency) 길다 (10~15ms) 짧다 (0.1ms 이하)
내구성/신뢰성 RAID 0로 인해 데이터 손실 위험 큼 SSD가 훨씬 우수
전력 소비 높음 (20W 이상) 낮음 (3~5W)

HDD 3개를 RAID 0로 묶어도 SSD의 성능을 완전히 대체할 수는 없음.
→ 특히, 랜덤 액세스 성능(IOPS), 응답 속도, 전력 소비, 내구성 등에서 SSD가 압도적으로 우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