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생활

CPU AV1 인코딩 vs NVENC AV1 인코딩: 퀄리티 비교 및 분석

by 우물 밖 개구리. 2025. 3. 15.
반응형

CPU AV1 인코딩 vs NVENC AV1 인코딩: 퀄리티 비교 및 분석

**AV1(Alliance for Open Media Video 1)**은 높은 압축 효율과 뛰어난 화질을 제공하는 차세대 비디오 코덱으로, 기존 H.264/AVC 및 H.265/HEVC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AV1 인코딩은 크게 소프트웨어(Software) 기반 CPU 인코딩하드웨어(Hardware) 기반 GPU(NVENC) 인코딩으로 나뉘며, 각각의 방식은 화질, 성능, 압축률에서 차이가 있다.

본 글에서는 CPU 기반 AV1 인코딩NVIDIA NVENC 기반 AV1 인코딩의 화질 비교를 중심으로 비트레이트 효율, 디테일 보존, 블록 아티팩트, 색 정확도 등의 요소를 분석한다.


🔍 1. CPU AV1 인코딩의 특성

CPU 인코딩은 **소프트웨어 기반 AV1 코덱(예: libaom, SVT-AV1, rav1e 등)**을 사용하여 동작하며, 최적의 압축률과 화질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 장점

  1. 최고 수준의 화질
    • CPU 인코딩은 더 정밀한 모션 보정(Motion Compensation)보다 세밀한 비트 분배(Bit Allocation)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 특히 세부 디테일 보존이 뛰어나며, 저비트레이트 환경에서도 아티팩트(Artifacts)가 적다.
  2. 더 높은 비트레이트 효율
    • CPU 기반 AV1 인코딩은 **더 깊은 RDO(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수행하여 같은 비트레이트에서도 더 좋은 화질을 제공한다.
    • 저비트레이트 환경에서도 블록 노이즈(Block Noise) 및 링잉 아티팩트(Ringing Artifacts)가 적음.
  3. 고급 인코딩 옵션 지원
    • CPU 기반 AV1 인코더(libaom, SVT-AV1)는 타일링(Tiling), 다중 패스(Multi-Pass), 심층적 모션 보상(Advanced Motion Compensation) 등을 활용 가능.
    • 2-pass 또는 3-pass 인코딩을 수행하면 동일한 비트레이트에서 더 선명한 품질을 얻을 수 있다.

❌ 단점

  1. 매우 높은 연산량 (느린 속도)
    • AV1은 기본적으로 연산량이 많으며, CPU 인코딩은 NVENC보다 5~10배 이상 느릴 수 있음.
    • 예를 들어, 4K 60FPS AV1 CPU 인코딩은 최신 고성능 CPU에서도 실시간 처리가 불가능한 경우가 많음.
  2. 높은 전력 소비
    • CPU 인코딩은 멀티코어를 100% 활용하므로, 전력 소비가 매우 높아지고 발열이 심함.
    • 인코딩 속도를 올리기 위해 서버급 CPU 또는 고성능 워크스테이션이 필요함.

🔍 2. NVENC AV1 인코딩의 특성

NVIDIA RTX 40 시리즈부터 NVENC(8세대) AV1 하드웨어 인코딩이 지원되며, 초고속 인코딩 속도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 장점

  1. 실시간 인코딩 가능 (고속 처리)
    • AV1 NVENC는 실시간 4K 60FPS 인코딩이 가능하며, CPU 인코딩보다 최소 5~10배 빠름.
    • 방송(Streaming)이나 게임 녹화(ShadowPlay)에서 실시간 AV1 인코딩이 가능하여 딜레이 없이 고화질 스트리밍이 가능.
  2. 낮은 전력 소비
    • GPU의 전용 인코더(NVENC)를 사용하므로 **CPU 사용량이 거의 0%**에 가까움.
    • CPU 인코딩 대비 전력 효율이 뛰어나고, 발열이 적음.
  3. 퀄리티 개선 (H.264 NVENC 대비 개선됨)
    • 기존 NVENC(H.264/H.265)보다 AV1 NVENC의 화질이 대폭 향상됨.
    • 같은 비트레이트에서 더 높은 화질 제공 (특히 고비트레이트 환경에서 개선 폭이 큼).

❌ 단점

  1. CPU 인코딩 대비 퀄리티 열세
    • NVENC는 하드웨어 인코딩이므로 비트레이트 최적화 알고리즘이 제한적.
    • 고정된 ASIC(전용 하드웨어 로직) 구조로 인해 RDO 최적화 및 고급 인코딩 기법 사용이 불가능.
    • 저비트레이트 환경(예: 5~10Mbps 이하)에서는 CPU AV1 인코딩 대비 블록 노이즈 발생 가능.
  2. 다중 패스 인코딩 불가
    • NVENC는 실시간 인코딩에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CPU 인코딩에서 제공하는 Multi-Pass Encoding(2-pass, 3-pass) 기능이 없음.
    • 결과적으로 복잡한 씬(Scene)에서 비트레이트가 부족해지는 문제 발생 가능.

🔬 3. 화질 비교 (CPU vs NVENC)

기준  CPU AV1 인코딩  NVENC AV1 인코딩
화질 최고 (최적의 RDO 적용) 준수하지만 CPU보다는 떨어짐
비트레이트 효율 매우 높음 (같은 비트레이트에서 더 나은 품질) 다소 낮음 (고비트레이트에서 유리)
디테일 보존 매우 우수 일부 씬에서 손실 발생 가능
블록 노이즈 거의 없음 저비트레이트에서 발생 가능
인코딩 속도 매우 느림 (실시간 불가) 매우 빠름 (실시간 가능)
전력 소비 높음 (CPU 100% 사용) 낮음 (NVENC 전용 로직 활용)
멀티 패스 지원 지원 (2-pass, 3-pass 가능) 지원 안 함

💡 결론: 언제 어떤 방식이 적절한가?

CPU AV1 인코딩이 유리한 경우

  • 최고의 화질을 원할 때
  • 저비트레이트(5~10Mbps 이하)에서도 좋은 품질을 유지해야 할 때
  • VOD(Video On Demand)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우
  • 시간이 오래 걸려도 괜찮고, CPU 자원이 충분할 때

NVENC AV1 인코딩이 유리한 경우

  • 실시간 방송(Streaming) / 게임 녹화가 필요할 때
  • 고비트레이트(15Mbps 이상)에서 좋은 품질이 필요할 때
  • 빠른 인코딩 속도가 필요한 경우 (즉시 업로드, 실시간 처리 등)
  • CPU 리소스를 아끼고 싶을 때

🚀 결론: 화질은 CPU 인코딩이 우세, 실용성은 NVENC가 우세

  • CPU AV1 인코딩 = 최고의 화질 & 최적의 압축률 (하지만 매우 느림)
  • NVENC AV1 인코딩 = 빠른 속도 & 실시간 스트리밍 최적화 (하지만 저비트레이트 품질 저하 가능)

즉, 실시간 방송이나 게임 녹화는 NVENC AV1이 최선, 하지만 VOD나 고품질 저장용 영상이라면 CPU AV1이 더 우수한 선택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