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rueNAS에는 CrystalDiskInfo 같은 GUI 기반의 SMART 모니터링 툴이 기본 내장되지는 않았지만, SMART (Self-Monitoring, Analysis, and Reporting Technology)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공된다.
✅ 1. TrueNAS에서 디스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① TrueNAS 웹 UI를 통한 SMART 모니터링
- TrueNAS의 웹 인터페이스에서 Storage → Disks → S.M.A.R.T. 탭을 통해 개별 디스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
- 온도, 읽기/쓰기 오류, 전원 켜진 시간 등 기본적인 SMART 데이터를 제공함.
- 하지만 CrystalDiskInfo처럼 직관적인 UI는 아님.
② CLI(Command Line Interface)에서 SMART 데이터 조회
TrueNAS는 FreeBSD 기반이므로, smartctl 명령어를 사용해 SMART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음.
smartctl -a /dev/da0 # da0 대신 실제 디스크 장치명을 사용
출력되는 정보:
- 전반적인 SMART 상태 (PASSED / FAILED)
- 디스크 온도
- 읽기/쓰기 오류 수
- 전원 켜진 시간
- 리매핑된 섹터 수
이 데이터를 보면 CrystalDiskInfo에서 확인하는 주요 정보들을 거의 동일하게 볼 수 있다.
③ TrueNAS의 디스크 상태 알림 기능
TrueNAS에는 디스크 오류가 감지되면 자동으로 이메일을 보내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음.
- System → Alerts → Reporting에서 설정 가능.
- 특정 임계값 (온도, 오류 발생 횟수 등)을 넘으면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알림이 전송됨.
✅ 2. CrystalDiskInfo와 비슷한 추가 모니터링 툴을 TrueNAS에서 사용할 수 있을까?
CrystalDiskInfo처럼 직관적인 그래픽 UI를 제공하는 대체 툴은 기본 제공되지 않지만, 몇 가지 추가적인 방법이 있음.
① Grafana + Prometheus + SMART Exporter (TrueNAS에 설치 가능)
- TrueNAS에서 SMART 데이터를 Prometheus로 수집하고 Grafana를 통해 시각적으로 모니터링 가능.
- CrystalDiskInfo보다는 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설치 과정이 다소 복잡함.
② Home Assistant + TrueNAS API 연동
- Home Assistant 같은 모니터링 툴을 활용하면, TrueNAS의 SMART 정보를 수집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볼 수 있음.
③ TrueCommand 사용
- TrueNAS 공식 관리 툴인 TrueCommand를 이용하면 여러 대의 NAS를 통합 관리하고 디스크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
- 하지만 개별 디스크의 세부적인 SMART 데이터를 CrystalDiskInfo처럼 간편하게 보기에는 다소 부족할 수 있음.
🎯 결론
TrueNAS에는 CrystalDiskInfo 같은 GUI 기반 SMART 모니터링 툴이 기본 내장되어 있지는 않지만,
- 웹 UI에서 기본 SMART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 CLI (smartctl) 명령어를 사용하면 더 상세한 정보를 볼 수 있으며,
- TrueCommand / Grafana 같은 추가 솔루션을 사용하면 더 직관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함.
CrystalDiskInfo처럼 단순하고 직관적인 UI는 없지만, 필요한 정보는 대부분 TrueNAS에서 직접 제공할 수 있다. 🚀
TrueNAS에서 RAID(ZFS) 구성에서 장애가 있는 디스크를 찾아내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완전히 고장난 디스크뿐만 아니라, 배드 섹터로 인해 일부 구간에서 성능이 저하되는 디스크도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 1. TrueNAS 웹 UI에서 장애 디스크 찾기
TrueNAS의 웹 인터페이스에서 Storage → Pools → Status로 이동하면, RAID(ZFS) 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 장애 디스크가 있으면 "DEGRADED", "FAULTED" 등의 경고가 표시됨.
- 특정 디스크에서 읽기/쓰기 오류가 발생하면, UI에 경고 메시지가 나타남.
- 하지만, 배드 섹터로 인해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라면, UI에서 즉시 감지되지 않을 수도 있음.
🔍 체크할 것: "Read Errors", "Write Errors", "Checksum Errors" 수치를 확인하면 문제가 있는 디스크를 쉽게 찾을 수 있음.
✅ 2. CLI(Command Line)에서 디스크 상태 확인 (smartctl)
TrueNAS는 FreeBSD 기반이므로, CLI에서 smartctl 명령어를 사용하면 디스크의 SMART 상태를 더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① 개별 디스크의 SMART 정보 확인
smartctl -a /dev/da0 # da0 대신 실제 디스크 장치명을 사용
출력되는 정보에서 다음 항목을 중점적으로 확인:
- Reallocated_Sector_Ct → 리매핑된 섹터 수 (배드 섹터가 발생한 경우 증가)
- Current_Pending_Sector → 현재 불안정한 섹터 (이 값이 0 이상이면 주의)
- Offline_Uncorrectable → 수정할 수 없는 오류 (값이 높으면 디스크 교체 고려)
- Temperature_Celsius → 디스크 온도 (비정상적으로 높으면 문제 가능)
- UDMA CRC Errors → 케이블 문제 또는 인터페이스 오류
🔹 배드 섹터 문제를 일으키는 디스크는 Reallocated_Sector_Ct 값이 증가하는 경우가 많음.
🔹 Current_Pending_Sector 값이 계속 증가하면 디스크 교체를 고려해야 함.
✅ 3. ZFS 명령어로 RAID(ZFS) 풀 상태 확인
ZFS는 자체적인 데이터 무결성 검사를 수행하므로, 특정 디스크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음.
① ZFS 풀 상태 확인
zpool status -v
출력 예시:
pool: mypool
state: DEGRADED
status: One or more devices are experiencing errors.
action: Replace the affected device.
scan: scrub repaired 512K in 1h25m with 0 errors
config:
NAME STATE READ WRITE CKSUM
mypool DEGRADED
raidz1-0 DEGRADED
da0 ONLINE
da1 FAULTED 10 5 2
da2 ONLINE
- READ/WRITE/CKSUM 값이 높은 디스크가 문제 디스크
- FAULTED 상태가 뜨면 해당 디스크는 거의 사용 불가능한 상태
- DEGRADED 상태는 RAID(ZFS) 풀은 작동하지만 일부 디스크가 문제 있는 상태
🔍 zpool status -v는 RAID(ZFS) 풀의 디스크 상태를 직접 보여주므로, 장애 디스크를 빠르게 찾을 수 있음.
✅ 4. TrueNAS Scrub 기능을 이용한 검사
Scrub은 ZFS의 자체 무결성 검사 기능으로, 디스크에서 오류를 감지하고 복구할 수 있음.
- TrueNAS 웹 UI → Storage → Pools → Scrub 실행
- 또는 CLI에서 실행 가능:
zpool scrub mypool
- 실행 후 **zpool status**로 오류 확인:
zpool status -v mypool
🔍 Scrub을 통해 RAID(ZFS) 풀 내에서 손상된 데이터나 성능이 떨어지는 디스크를 감지할 수 있음.
🔍 특히, "checksum errors"가 많다면 해당 디스크를 교체하는 것이 좋음.
✅ 5. 디스크 성능 테스트로 속도 저하 확인
디스크가 완전히 고장나지는 않았지만, 특정 섹터에서 속도가 급격히 저하되는 경우 dd 또는 fio 같은 툴로 테스트해볼 수 있음.
① dd로 개별 디스크 속도 테스트
dd if=/dev/da0 of=/dev/null bs=1M count=10000 status=progress
- 특정 디스크의 읽기 속도를 측정함.
- 어느 구간에서 속도가 급격히 떨어진다면, 해당 디스크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음.
② fio를 이용한 랜덤 읽기 테스트
fio --name=randread --ioengine=libaio --rw=randread --bs=4k --numjobs=1 --size=1G --runtime=60 --time_based --iodepth=32 --filename=/dev/da0
- 랜덤 읽기 성능을 테스트하여, 배드 섹터가 있는 경우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떨어지는지 확인 가능.
🎯 결론: 장애 디스크를 찾아내는 최적의 방법
✅ 장애 디스크를 빠르게 찾는 방법
- TrueNAS 웹 UI → Storage → Pools → Status에서 DEGRADED, FAULTED 상태 확인.
- zpool status -v 명령어를 사용해 ZFS에서 장애 디스크 감지.
- **smartctl -a /dev/daX**를 사용하여 SMART 데이터를 확인하고, 배드 섹터 발생 여부 체크.
- Scrub 실행 (zpool scrub mypool) 하여 데이터 무결성 검사 진행.
- **디스크 성능 테스트 (dd, fio)**로 특정 섹터에서 성능 저하가 있는지 확인.
✅ 장애 디스크 교체 기준
- SMART 값에서 Current_Pending_Sector나 Reallocated_Sector_Ct 증가
- ZFS scrub 후 "checksum errors"가 지속적으로 증가
- dd나 fio 테스트 시 특정 구간에서 성능 급락
- zpool status에서 "DEGRADED", "FAULTED" 상태 감지
이런 문제가 있는 경우, 장애 디스크를 빠르게 교체하는 것이 중요하다.
RAID-Z1의 경우 디스크 하나가 고장나면 복구 가능하지만, 두 개가 고장 나면 데이터 손실 위험이 있음.
결론적으로, TrueNAS에서는 zpool status, smartctl, scrub 등의 기능을 활용하면 배드 섹터로 인한 성능 저하도 포함하여 장애 디스크를 효과적으로 찾아낼 수 있다. 🚀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 Display Driver로 만든 가상 디스플레이를 직접 보는 방법 (0) | 2025.03.15 |
---|---|
RAID-Z1 → RAID-Z2 변경이 가능할까? (RAID-Z Expansion 관련) (0) | 2025.03.11 |
Hyper-Threading(HT)을 비활성화하는 이유와 고려해야 할 상황 (0) | 2025.03.11 |
Proxmox에서 멀티소켓 시스템의 CPU 부하 분산과 영향 분석 (0) | 2025.03.11 |
운영체제별 프로세스 그룹 및 스레드 수 제한 비교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