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생활

두 CPU의 성능이 똑같다고 할 때, 코어 수가 많은 것이 좋을까? 적은 것이 좋을까? 비교해보았다

by 우물 밖 개구리. 2025. 2. 14.
반응형

36코어 72스레드 CPU vs 8코어 16스레드 CPU 성능 비교

가정:

  • 멀티코어 점수(예: Cinebench R23, Geekbench 등)가 동일
  • 동일한 공정 및 아키텍처(예: Zen 4 vs Zen 4, Raptor Lake vs Raptor Lake)
  • 같은 클럭/IPC(Intstructions Per Cycle)를 가진다고 가정

이제 각 CPU의 유리한 작업, 불리한 작업, 일반적인 워크로드에서의 성능 차이를 분석해보자.


🔹 1. 멀티코어 점수가 동일하다는 의미

멀티코어 점수가 동일하다는 것은 총 처리 성능(aggregate performance)이 같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 성능을 보면 클럭 속도 vs 코어 개수의 균형에 따라 차이가 난다.

  • 36코어 72스레드 CPU → 낮은 클럭 속도 + 다수의 코어
  • 8코어 16스레드 CPU → 높은 클럭 속도 + 적은 코어

즉, 병렬 처리 성능이 중요한지 vs 단일 스레드 성능이 중요한지에 따라 유리한 작업이 달라진다.


🔹 2. 각 CPU의 유리한 작업과 불리한 작업

36코어 72스레드 CPU가 유리한 작업

완벽한 병렬 작업(Highly Parallel Workloads)

  • 렌더링(Blender, V-Ray, Arnold, Octane)
  • 과학적 계산 및 데이터 분석(Ansys, MATLAB, R, TensorFlow)
  • 대량의 가상 머신(VM) 및 컨테이너(Docker, Kubernetes)
  •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쿼리(OLAP, SQL 서버, NoSQL)
  • 대량의 파일 변환(FFmpeg 인코딩, 대규모 압축/해제)

➡ 병렬 작업을 많이 수행해야 하는 경우, 코어 개수가 많을수록 효율이 증가한다.


36코어 72스레드 CPU가 불리한 작업

단일 스레드 성능이 중요한 작업

  • 게이밍(특히 e스포츠 게임, CS:GO, Valorant, LoL, Overwatch)
  • 포토샵 같은 그래픽 작업(필터 적용, 레이어 작업)
  • 가벼운 동영상 편집(프리미어 프로에서 간단한 클립 편집)
  • 웹 브라우징,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실행
  • Office 작업(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 클럭이 낮으면 단일 스레드 작업이 느려지고, 응답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8코어 16스레드 CPU가 유리한 작업

높은 클럭과 단일 스레드 성능이 중요한 작업

  • 고주사율 게이밍(240Hz, 360Hz 모니터에서의 게임 플레이)
  • 웹 서핑, 일반적인 데스크탑 환경(로딩 속도, 부팅 속도)
  • 가벼운 프로그래밍(IDE에서의 컴파일 속도)
  • 포토샵 같은 일반적인 디자인 작업
  • 일반적인 가벼운 동영상 편집(4K 편집 정도까지)

➡ 빠른 응답성과 낮은 지연시간이 중요한 작업에서는 높은 클럭이 더 유리하다.


8코어 16스레드 CPU가 불리한 작업

대규모 병렬 작업이 필요한 경우

  • 3D 렌더링에서 CPU 렌더링 수행 시 느려짐
  • 대형 AI 모델 학습 및 추론
  • 가상 머신을 여러 개 돌려야 하는 환경
  • 서버급 대량 연산(금융 분석, 머신러닝, 과학 계산)

➡ 병렬 처리가 부족하여 작업 시간이 길어지거나 작업이 멈출 수도 있다.


🔹 3. 웹 서핑 및 일반적인 워크로드에서의 성능 차이

일반적인 웹 브라우징, 유튜브 시청, 문서 작업 같은 경우에는 CPU의 단일 스레드 성능과 응답 속도가 중요하다.

🔹 웹 서핑, 유튜브, 문서 작업:
8코어 16스레드 CPU가 더 유리함

  • 브라우저 렌더링 속도가 빠름
  • 응답성이 높아 빠릿빠릿함

🔹 다중 작업(예: 50개 이상의 탭을 여는 경우):
36코어 72스레드 CPU가 유리함

  • 다수의 브라우저 탭을 실행해도 부드럽게 동작
  • 가상 머신, 백그라운드 작업을 실행할 때도 영향이 적음

🔹 대용량 파일 다운로드, 압축/해제:
36코어 72스레드 CPU가 더 빠름

  • 병렬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

🔹 4. 결론 및 추천

CPU  36코어 72스레드  8코어 16스레드
게임 ❌ 불리함 ✅ 유리함
웹 서핑 🔹 비슷함(응답 속도는 다소 느릴 수도 있음) ✅ 유리함
포토샵 / 가벼운 영상 편집 🔹 가능하지만 클럭이 낮아 다소 불리 ✅ 유리함
3D 렌더링 (Blender, Arnold 등) ✅ 압도적으로 유리함 ❌ 불리함
대량의 가상 머신 (VM, Docker 등) ✅ 유리함 ❌ 불리함
대규모 데이터 처리 (SQL, 빅데이터 분석 등) ✅ 유리함 ❌ 불리함
멀티태스킹 (다중 브라우저, 다중 프로세스) ✅ 유리함 🔹 비슷함(많이 켜면 불리)
부팅 속도, 앱 실행 속도 🔹 약간 불리함 ✅ 유리함

📌 결론:

  • 일반적인 사용(Gaming, 웹 서핑, 생산성 작업)8코어 16스레드 CPU가 유리
  • 전문적인 연산(3D 렌더링, AI, 머신러닝, 데이터베이스, VM)36코어 72스레드 CPU가 유리
  • 멀티코어 점수가 같아도 단일 스레드 성능 차이가 크다면 8코어 CPU가 더 빠릿한 반응성을 가질 수 있음

즉, 개인 사용자라면 8코어 CPU, 서버/워크스테이션 용도라면 36코어 CPU가 적합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