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264, HEVC, AV1은 모두 비디오 압축 코덱이며, 각 코덱의 압축 효율성은 시간이 지나면서 발전해 왔습니다. 여기서 효율성은 동일한 화질을 제공하면서 더 낮은 비트레이트로 비디오를 인코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됩니다. 각 코덱이 제공하는 효율성의 차이는 크게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H.264 (AVC)
- 출시 시기: 2003년
- 효율성: H.264는 오랫동안 널리 사용된 표준 비디오 코덱으로, 기존의 MPEG-2와 비교해 40~50% 더 효율적이었습니다. 즉, 동일한 화질을 더 낮은 비트레이트로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 비트레이트 효율: H.264는 비디오를 압축하는 데 있어 비교적 효율적이지만, 최신 코덱과 비교하면 다소 뒤떨어집니다.
2. HEVC (H.265)
- 출시 시기: 2013년
- 효율성: HEVC는 H.264보다 약 50% 더 효율적입니다. 즉, 같은 화질의 영상을 약 절반의 비트레이트로 압축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4K 및 HDR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및 고품질 영상을 압축할 때 뛰어난 효율성을 보입니다.
- 효율성 증가: HEVC는 H.264에 비해 30~50% 더 높은 압축 효율을 자랑합니다. 예를 들어, H.264로 10Mbps로 인코딩된 비디오가 있을 경우, HEVC는 같은 화질을 약 5~7Mbps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AV1
- 출시 시기: 2018년
- 효율성: AV1은 HEVC보다 약 30% 더 효율적이라고 평가됩니다. 이는 더 낮은 비트레이트로도 HEVC와 동일한 수준의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AV1은 또한 오픈소스 코덱으로, HEVC와 달리 라이선스 비용이 없기 때문에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점차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 효율성 증가: AV1은 HEVC에 비해 약 20~30% 더 효율적이며, H.264와 비교하면 50% 이상의 효율성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H.264로 10Mbps로 인코딩된 비디오가 있을 경우, AV1은 같은 화질을 약 3~5Mbps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효율성 비교 요약
- H.264 (AVC) → HEVC (H.265): 약 30~50% 더 높은 효율성. 즉, HEVC는 동일한 화질을 제공하면서 H.264의 비트레이트를 절반 가까이 줄일 수 있습니다.
- HEVC (H.265) → AV1: 약 20~30% 더 높은 효율성. 즉, AV1은 동일한 화질을 제공하면서 HEVC보다 20~30% 더 적은 비트레이트로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습니다.
- H.264 (AVC) → AV1: 약 50~60% 더 높은 효율성. 즉, AV1은 H.264에 비해 절반 이하의 비트레이트로 동일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실제 시나리오 예시:
- H.264 인코딩: 10Mbps로 인코딩된 1080p 영상.
- HEVC 인코딩: 동일한 화질을 제공하기 위해 약 5~7Mbps로 인코딩.
- AV1 인코딩: 동일한 화질을 제공하기 위해 약 3~5Mbps로 인코딩.
결론
- H.264에서 HEVC로 전환하면 비트레이트를 30~50% 줄일 수 있습니다.
- HEVC에서 AV1으로 전환하면 비트레이트를 20~30% 더 줄일 수 있습니다.
- H.264에서 AV1으로 전환하면 비트레이트를 50%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
이 숫자는 대략적인 가이드라인이며, 실제 효율성은 비디오의 복잡성, 인코딩 설정(예: 비트레이트, 품질 프로파일, 압축률), 움직임의 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센터용 하드디스크 (HDD)는 일반 소비자용 하드디스크랑 뭐가 다를까? (0) | 2025.01.04 |
---|---|
한 IP에서 웹사이트를 여러개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설명해보았다. (0) | 2025.01.04 |
대규모 데이터 센터에서는 버려지거나 고장난 하드디스크 (HDD)를 전부 어떻게 처리, 폐기할까? (0) | 2025.01.04 |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꾸 쿠키를 허용하겠냐고 묻는 이유, 바로 이 것 때문 (0) | 2025.01.04 |
해저 케이블의 전기세는 수천만원? 얼마나 전력을 소모할까? 설명해보았다. (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