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멀티플렉싱(Multiplexing)**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통신 채널을 통해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여러 개의 신호(또는 데이터 스트림)를 하나의 합쳐진 신호로 결합(multiplex)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이 신호를 **다시 개별 데이터로 분리(demultiplex)**합니다.
멀티플렉싱은 통신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네트워크 대역폭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방송, 인터넷,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멀티플렉싱의 주요 원리
멀티플렉싱의 기본 아이디어는 **하나의 물리적 매체(채널)**를 사용해 여러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입니다. 이때 각 데이터는 특정한 규칙이나 자원을 통해 구분됩니다.
- 송신 측:
- 여러 신호(데이터)를 하나의 합쳐진 신호로 통합.
- 수신 측:
- 통합된 신호를 개별 신호로 다시 분리.
멀티플렉싱의 종류
멀티플렉싱 방식은 사용하는 자원(시간, 주파수, 코드 등)에 따라 나뉩니다.
-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시분할 다중화)
- 각 신호에 시간 슬롯을 할당하여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전송.
- 예: 디지털 통신에서 음성 데이터 전송.
-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주파수 분할 다중화)
- 각 신호에 다른 주파수 대역을 할당하여 동시에 전송.
- 예: 라디오 방송(각 채널이 다른 주파수를 사용).
- 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 코드 분할 다중화)
- 각 신호에 고유한 코드를 할당하여 여러 신호를 동시에 전송.
- 예: CDMA 기반의 무선 통신.
-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파장 분할 다중화)
- 광통신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여러 신호를 각기 다른 빛의 파장(컬러)으로 전송.
- 예: 광케이블 기반 네트워크.
멀티플렉싱의 활용 사례
- 디지털 방송 (MPEG-TS):
- 비디오, 오디오, 자막 등의 데이터를 하나의 전송 스트림으로 다중화.
- 전송 후 수신 측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복원.
- 네트워크 통신:
- 인터넷 데이터를 FDM 또는 TDM 방식으로 여러 사용자 간에 분배.
- 라우터나 스위치에서 멀티플렉싱 활용.
- 위성 통신:
- 위성 채널 하나에 여러 신호를 다중화하여 고효율로 전송.
멀티플렉싱의 이점
- 자원의 효율적 사용:
- 하나의 물리적 채널을 공유하므로 네트워크 비용 절감.
- 동시에 여러 데이터 전송 가능:
- 다양한 데이터 유형(오디오, 비디오, 텍스트)을 한꺼번에 전송.
- 유연성 제공:
-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인프라를 통해 동시에 통신 가능.
결론
멀티플렉싱은 대역폭, 주파수, 시간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이는 핵심 기술입니다. 현대 통신,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에서 필수적이며, 인터넷 기반 스트리밍이나 무선 네트워크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며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서버, Auth InnerException 설명, 해결방법 (0) | 2024.12.30 |
---|---|
왜 일본의 방송은 Full HD 대신 1440x1080 이라는 애매한 해상도를 사용할까? (0) | 2024.12.30 |
MMT/TLV 와 TS 스트림이 뭘까? 설명 (1) | 2024.12.30 |
2025년 현재 차세대 코덱 H.266(VVC) 와 AV2의 현황 (0) | 2024.12.30 |
최신 AV1 코덱과 H.264 코덱의 차이? 비교해봤다 (0)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