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ATA SSD에 설치된 Windows를 M.2 SSD로 통째로 옮기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안정적인 방법은 디스크 복제(클로닝, Cloning) 방식이다. 이를 위해 클로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면 쉽게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다.
1. 준비물 및 사전 체크
✅ 필요한 도구
- M.2 SSD (타겟 디스크)
- M.2 슬롯이 있는 메인보드 (M.2 NVMe 또는 M.2 SATA 지원 여부 확인)
- 디스크 클로닝 소프트웨어 (Acronis True Image, Macrium Reflect, EaseUS Todo Backup 등)
- Windows 부팅 USB (혹시 모를 문제 대비)
⚠️ 사전 확인 사항
- M.2 SSD의 용량이 SATA SSD보다 같거나 커야 한다.
- M.2 SSD의 인터페이스(NVMe 또는 SATA)를 확인해야 한다.
- NVMe M.2는 PCI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며, BIOS에서 NVMe 부팅이 지원되는지 확인 필요.
- SATA M.2는 기존 SATA SSD와 같은 방식이므로 추가 설정 없이 바로 사용 가능.
- GPT/MBR 파티션 형식 확인
- 기존 SATA SSD가 GPT(UEFI 부팅)인지 MBR(Legacy BIOS 부팅)인지 확인해야 함.
- 동일한 파티션 스타일로 유지해야 부팅 가능.
2. 디스크 복제(클로닝) 방법
방법 1: Macrium Reflect Free (무료, 안정적)
- Macrium Reflect 다운로드 및 설치
- 공식 사이트에서 무료 버전 다운로드
- M.2 SSD를 PC에 연결
- 데스크탑이면 M.2 슬롯에 장착
- 노트북이면 M.2 확장 어댑터(SATA to USB) 필요할 수도 있음
- Macrium Reflect 실행 → “Clone this disk” 선택
- 현재 Windows가 설치된 SATA SSD를 선택
- 복제 대상(Destination)으로 M.2 SSD 선택
- 복제 시작
- "Intelligent Sector Copy"를 선택 (필요한 데이터만 복사)
- "SSD Trim" 옵션 체크
- 복제가 완료되면 PC 종료 후 SATA SSD 제거
- BIOS에서 부팅 순서 변경 (M.2 SSD를 1순위로 설정)
✅ 부팅 성공 시 정상적으로 Windows가 실행됨
방법 2: AOMEI Backupper (무료, 직관적)
- AOMEI Backupper Standard 다운로드 (공식 사이트)
- M.2 SSD 장착 후 AOMEI 실행
- “Disk Clone” 선택 → SATA SSD → M.2 SSD 선택
- “SSD Alignment” 체크 (속도 최적화, NVMe 권장)
- 클로닝 후 SATA SSD 제거 및 BIOS에서 M.2 SSD 부팅 설정
✅ 별다른 추가 설정 없이 자동으로 복제됨
방법 3: Clonezilla (무료, 오픈소스, 전문가용)
- Clonezilla Live USB 생성 (Rufus 사용)
- Clonezilla 부팅 후 "device-device" 모드 선택
- 소스 디스크(SATA SSD) → 대상 디스크(M.2 SSD) 선택
- 디스크 복제 후 종료
- BIOS 부팅 순서 변경 및 테스트
✅ 완전한 섹터 단위 복제로 손실 없이 데이터 유지 가능
3. 복제 후 문제 해결 방법
- 부팅이 되지 않을 경우
- BIOS에서 부팅 순서 확인
- Windows가 UEFI 모드에서 설치되었는지 체크
- 필요 시 Windows 복구 USB로 부팅 후 "bootrec /fixmbr" 실행
- M.2 SSD가 인식되지 않을 경우
- BIOS에서 NVMe 지원 여부 확인
- Disk Management에서 M.2 SSD가 할당되지 않았는지 체크
- 용량이 다르게 표시될 경우
- 복제 후 남은 용량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음 → Disk Management에서 볼륨 확장 실행
4. 결론
SATA SSD에서 M.2 SSD로 Windows를 옮기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Macrium Reflect 또는 AOMEI Backupper를 사용한 클로닝이다.
- NVMe SSD를 사용할 경우 BIOS 설정을 확인하고 부팅 순서를 변경해야 함.
- 클론 후에는 반드시 SATA SSD를 제거하고 M.2에서 부팅되는지 확인해야 함.
이제 SATA SSD를 제거하고 M.2 SSD에서 부팅이 잘 되는지 테스트하면 끝! 🚀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MI의 이더넷 지원: HDMI Ethernet Channel (HEC) (0) | 2025.03.18 |
---|---|
IPv6 자동 주소 할당 방법 (0) | 2025.03.18 |
PlayStation Portal에서의 Exploit Jailbreak 해킹 가능성 분석 (0) | 2025.03.17 |
라우터 공유기에서 도메인 차단 설정 (0) | 2025.03.17 |
TheFlow0: 플레이스테이션 해킹의 핵심 인물 (1)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