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인크래프트에서 작물 성장 속도(청크 틱 업데이트 속도)를 올리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어.
🔹 1. randomTickSpeed 값 조정 (서버 및 싱글 플레이 가능)
게임 내에서 /gamerule 명령어로 randomTickSpeed 값을 높이면 작물 성장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어.
📌 명령어 실행 방법
- 서버 콘솔 또는 OP 권한이 있는 상태에서 실행
- 아래 명령어 입력:
/gamerule randomTickSpeed 100
- 기본값: 3
- 너무 높이면 서버 과부하 발생 가능 (100~200 정도 추천)
🔹 2. spigot.yml 설정 변경 (Spigot/Paper 서버 전용)
Spigot 또는 Paper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spigot.yml에서 ticks-per 설정을 변경하여 성장 속도를 조정할 수 있어.
📌 설정 변경 방법
- 서버 폴더에서 spigot.yml 파일 열기
- 아래 값을 수정
- ticks-per: crop-growth: 1 # 작물 성장 틱 (기본값: 3, 낮을수록 빠름) sapling-growth: 1 # 나무 묘목 성장 속도 (기본값: 3) cactus-growth: 1 # 선인장 성장 속도 (기본값: 8) sugar-cane-growth: 1 # 사탕수수 성장 속도 (기본값: 8) mushroom-growth: 1 # 버섯 성장 속도 (기본값: 5) bamboo-growth: 1 # 대나무 성장 속도 (기본값: 8) melon-growth: 1 # 수박 성장 속도 (기본값: 3) pumpkin-growth: 1 # 호박 성장 속도 (기본값: 3) wart-growth: 1 # 네더 사마귀 성장 속도 (기본값: 3)
- 서버 재시작 후 적용
🔹 3. Paper 서버에서 paper.yml 추가 최적화
Paper 서버를 사용한다면, paper.yml에서 랜덤 틱 관련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어.
- paper.yml 파일 열기
- 아래 설정 변경
settings: tick-rates: crop-growth: 1 sapling-growth: 1
🔹 4. 플러그인 활용 (Spigot/Paper)
Spigot이나 Paper 서버를 사용한다면, "GrowthMultiplier" 같은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작물 성장 속도를 커스텀할 수도 있어.
플러그인 다운로드: GrowthMultiplier (Spigot)
🚀 결론
✔ /gamerule randomTickSpeed 명령어로 간편하게 조정 가능
✔ spigot.yml에서 ticks-per 설정으로 세부적인 성장 속도 변경 가능
✔ Paper 서버라면 paper.yml 설정도 조정 가능
✔ 플러그인(GrowthMultiplier)으로 더 정밀한 제어 가능
추천 설정:
- /gamerule randomTickSpeed 100
- spigot.yml에서 crop-growth: 1
이렇게 하면 작물이 훨씬 빠르게 성장할 거야!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ox VM 간 이더넷 구성 시 10Gbps 이상의 속도 가능 여부 (0) | 2025.03.16 |
---|---|
성능 비교 (SATA, SCSI, VirtIO, NVMe) (0) | 2025.03.16 |
Windows에서 Remote Desktop 및 Samba(파일 공유) 계정 추가 방법 (0) | 2025.03.16 |
컴파일 후에도 주석을 유지하는 방법 (꼼수 및 우회법) (1) | 2025.03.15 |
소스 코드의 주석은 컴파일될까? 그리고 디컴파일하면 복구될까?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