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생활

RAID-Z1에서 디스크 고장 후, 여분 디스크가 없을 때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을까?

by 우물 밖 개구리. 2025. 3. 15.
반응형

RAID-Z1에서 디스크 고장 후, 여분 디스크가 없을 때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을까?

결론: 가능하면 시스템을 종료하는 것이 더 안전함.
이유: RAID-Z1은 디스크 1개 장애를 견딜 수 있지만, 남은 디스크 중 하나라도 추가로 고장 나면 풀(Pool) 전체가 "FAULTED" 상태가 되면서 데이터가 완전히 손실됨.

📌 가용성이 중요하지 않다면, 배송을 기다리는 동안 NAS를 꺼두는 것이 안전한 선택.
📌 만약 반드시 온라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면, RAID-Z1의 위험성을 감안하고 최소한 읽기 전용(Read-Only) 모드로 유지하는 것이 좋음.


1. RAID-Z1에서 디스크 고장 후,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위험한 이유

디스크 1개 장애 시, RAID-Z1은 남은 디스크와 패리티 데이터를 사용하여 계속 작동 가능하지만, 추가 장애 발생 시 복구 불가능.
NAS를 계속 사용하면 남은 디스크의 부하가 증가하여 추가적인 디스크 장애 가능성이 높아짐.
특히 RAID-Z1은 단일 패리티를 사용하므로, 추가 장애 발생 시 ZFS 풀 자체가 "FAULTED" 상태가 되며 데이터 복구가 불가능해짐.

즉, 디스크 1개가 고장 난 상태에서 추가 장애를 방지하려면 시스템을 종료하는 것이 가장 안전함.


2. 하지만 온라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면? (예: 중요 파일 접근 필요)

만약 3일 동안 NAS가 필요해서 온라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면, 최대한 디스크 부하를 줄이는 것이 중요.
ZFS의 읽기 전용(Read-Only) 모드를 활용하여 데이터 보호 가능.

📌 1) ZFS 풀을 읽기 전용(Read-Only) 모드로 마운트

zfs set readonly=on yourpoolname

➡ 이렇게 하면 데이터 읽기는 가능하지만, 추가적인 쓰기가 차단되어 추가적인 디스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음.

나중에 새 디스크 교체 후, 다시 읽기-쓰기(Read-Write) 모드로 변경 가능

zfs set readonly=off yourpoolname

📌 2) ZFS 풀을 일시적으로 내리고, 디스크 교체 후 다시 마운트

zpool export yourpoolname

➡ 이렇게 하면 풀을 "OFFLINE" 상태로 유지하면서 NAS를 계속 사용할 수 있음.
➡ 디스크 교체 후 다시 마운트 가능

zpool import yourpoolname

3. 정리: RAID-Z1 디스크 고장 후, 여분 디스크가 없을 때 최선의 선택

 

상황  추천 행동  설명
가용성이 중요하지 않음 (일반적인 개인용 NAS) ✅ NAS를 종료하고 새 디스크 도착 후 복구 추가적인 디스크 고장을 방지하는 가장 안전한 방법.
가용성이 필요하지만, 데이터 보호가 최우선 ✅ ZFS 풀을 "읽기 전용(Read-Only)"으로 변경 쓰기를 막아 추가적인 디스크 부하를 줄일 수 있음.
NAS를 계속 사용해야 하지만 부하를 줄이고 싶음 ✅ ZFS 풀을 내리고(export) 디스크 교체 후 다시 마운트 풀을 내리면 NAS는 작동하지만, RAID-Z1 풀은 보호됨.

📌 결론:

  • 가능하면 NAS를 종료하는 것이 가장 안전함.
  • 꼭 온라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면, 최소한 "읽기 전용" 모드로 변경하여 추가적인 쓰기를 방지하는 것이 좋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