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록층(기록막)이 벗겨지기 시작한 DVD는 데이터 손실 위험이 매우 크므로 빠르게 백업하는 게 최우선이야. 지금 상태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정리해줄게.
1. 당장 해야 할 일: 데이터 백업 시도
기록막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았다면 일단 읽어들이는 것이 최우선이야.
✅ ① DVD 드라이브에서 가능한 한 빨리 데이터 백업하기
- DVD를 조심스럽게 삽입하고, 정상적으로 읽을 수 있다면 즉시 전체 복사(ISO 파일로 백업) 시도.
- Windows에서는 ImgBurn, Linux에서는 ddrescue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오류가 나도 일부 복구 가능.
✅ ② 읽기 오류가 있으면 저속(4x 이하)으로 재시도
- 일부 DVD 드라이브는 읽기 오류가 있으면 속도를 줄이면 더 잘 읽힐 수도 있어.
- ImgBurn → Read 모드 → Read Speed를 1x~4x로 설정
✅ ③ 여러 개의 드라이브를 사용해 보기
- 드라이브마다 레이저 초점과 읽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한 드라이브에서 못 읽더라도 다른 드라이브에서는 읽힐 가능성이 있음.
- 구형 DVD 드라이브(특히 LG, Plextor 제품군)가 상대적으로 읽기 성능이 좋음.
2. 기록막이 들뜬 부분이 있다면? (물리적 손상 해결 시도)
기록막이 완전히 떨어지지는 않았지만 일부 들뜬 상태라면, 데이터를 조금이라도 더 오래 유지하기 위해 다음 방법을 고려할 수 있어.
✅ ① 투명한 테이프(스카치 테이프)로 고정
- 기록막이 너덜거려서 레이저가 읽는 걸 방해하면, 얇은 투명 테이프를 조심스럽게 붙여서 고정하는 게 도움이 될 수도 있음.
- 단, 기록막을 더 손상시키지 않도록 테이프를 너무 강하게 누르지 않도록 주의!
✅ ② DVD 표면에 클리어 스프레이(아크릴 스프레이) 도포 (고급 방법)
- 기록막이 아주 얇게 벗겨진다면, 얇은 투명한 아크릴 스프레이를 뿌려서 기록막이 날아가는 걸 방지할 수 있음.
- 자동차용 투명 보호 스프레이(클리어 코트)나 UV 차단 스프레이가 효과적일 수 있음.
- 너무 많이 뿌리면 광학 드라이브가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으니 얇게 한두 번 뿌리는 게 중요.
✅ ③ DVD 표면을 평평하게 유지 (뒤틀림 방지)
- 기록막이 부분적으로 떨어지면 디스크가 회전할 때 균형이 무너질 수도 있어.
- 읽을 때 디스크를 완전히 눕혀서, 중력 때문에 기록막이 더 떨어지지 않게 유지하는 게 좋음.
3. 최후의 방법: 데이터 복구 소프트웨어 사용
만약 일부 데이터가 읽히지만 파일이 손상되었거나 읽기 오류가 발생한다면,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해.
✅ 추천 프로그램 (읽기 오류 난 파일 복구용)
- IsoBuster → DVD/CD 복구에 특화된 프로그램
- ddrescue (Linux용) → 물리적 손상이 있는 디스크에서 최대한 데이터 복사
- Roadkil’s Unstoppable Copier → 읽기 오류가 있는 파일을 최대한 복구
4. 최후의 최후: 전문 데이터 복구 업체 문의
- 정말 중요한 데이터라면 전문 복구 업체(ex. 온데이터, 데이터세이브 등)에 맡기는 것도 방법.
- 기록막이 반쯤 벗겨진 경우, 전문 장비로 레이저 조정을 해서 일부 데이터를 추출할 수도 있음.
- 하지만 비용이 비쌀 수 있음(수십만 원 이상).
결론: 지금 당장 할 일
1️⃣ DVD가 읽히면 바로 ISO로 백업
2️⃣ 읽기 오류가 있으면 저속(1~4x)으로 재시도 & 다른 드라이브 사용
3️⃣ 기록막이 들떠 있다면 투명 테이프 또는 보호 스프레이 사용
4️⃣ 파일이 손상되었다면 데이터 복구 프로그램 활용
5️⃣ 그래도 안 되면 전문 복구 업체 문의 (비용 고려)
지금 기록막이 너덜거리는 상태면, 시간이 지날수록 더 악화될 가능성이 크니까 가능한 한 빨리 백업하는 게 최우선이야!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264, AVC, x264의 차이점과 관계 (0) | 2025.03.15 |
---|---|
LTO 테이프 드라이브의 RAID 구성 가능 여부 및 방법 (0) | 2025.03.15 |
블루레이 폴더 구조 (0) | 2025.03.15 |
임대주택에서 돌비 애트모스 구성을 위해 천장 스피커를 달 수 있는 방법은? (0) | 2025.03.15 |
Adobe RGB vs sRGB 차이점 (1)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