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sabi가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보다 저렴한 이유는 다음과 같은 설계 및 비즈니스 모델 차이점 때문이야.
1. 단순화된 서비스 모델 (Pure Storage Model)
Wasabi는 단순히 오브젝트 스토리지(Storage)만 제공하는 서비스야.
✅ 계산(Compute), 네트워크 기능 없음 → AWS/GCP처럼 복잡한 기능이 필요 없어서 비용 절감 가능
✅ 데이터 다운로드(이그레스) 무료 → 사용자가 예측 가능한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
✅ S3 API 호환 → 이미 S3 기반의 많은 애플리케이션과 호환 가능하여 추가 개발 비용 절감
📌 AWS/GCP는 스토리지뿐만 아니라, 컴퓨팅, 데이터베이스, AI 서비스 등 여러 기능을 포함해서 가격이 비싸지는 것
📌 Wasabi는 오직 저렴한 스토리지 제공에 집중하는 전략을 채택
2. 고정형 가격 모델 (Flat Pricing)
AWS, GCP, Azure는 스토리지 비용이 **계층형(Tiered Pricing)**이야.
- Frequent Access (자주 접근) → 비쌈 ($0.023/GB)
- Infrequent Access (거의 안 씀) → 약간 저렴 ($0.0125/GB)
- Glacier (아카이빙, 콜드 스토리지) → 싸지만 복구에 시간 걸림 ($0.004/GB)
Wasabi는 이런 복잡한 가격 모델 없이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가격 ($0.0059/GB)**으로 제공.
즉, 모든 데이터가 저렴한 가격으로 저장 가능하고 추가적인 요금이 없음.
📌 AWS/GCP는 데이터가 "어떤 계층에 저장되는지"에 따라 요금이 달라짐.
📌 Wasabi는 단순하게 하나의 저렴한 가격만 제공 → 가격 예측이 쉬움.
3. 장기 계약 기반 운영 (Long-Term Commitment)
Wasabi는 고객이 장기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전제로 가격을 책정해.
- 최소 90일간 삭제하지 않고 저장해야 함 (그 전에 삭제하면 추가 요금 발생)
- GCP/AWS는 고객이 필요할 때 바로 삭제할 수 있지만, Wasabi는 데이터를 장기 저장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최적화
📌 즉, 자주 삭제하는 용도로는 Wasabi가 적합하지 않음.
📌 하지만 "백업/장기 보관" 용도로는 저렴하고 최적화됨.
4. 자체 개발한 고효율 스토리지 아키텍처
Wasabi는 기존 클라우드 업체들과 달리 스토리지 전용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면서 비용을 낮춤.
- 최신 고밀도 스토리지 시스템을 사용해 TB당 전력/운영 비용 감소
- 기존 클라우드와 다르게 3중 복제 대신 RAID 기반 보호 → 데이터 보존 비용 절감
- 소프트웨어 최적화로 빠른 속도 + 저비용 유지
📌 AWS, GCP는 3중 복제(3개 데이터센터에 저장)로 안전성을 보장하지만 비용이 높아짐.
📌 Wasabi는 RAID + 소프트웨어 최적화로 유사한 보호 수준을 제공하면서도 비용을 절감.
5. 데이터 이그레스(다운로드) 무료 정책
GCP, AWS, Azure는 데이터 다운로드 시 요금을 부과하는 반면,
Wasabi는 다운로드 트래픽(이그레스)을 무료로 제공.
✅ 사용자가 데이터를 자주 다운로드해도 추가 비용이 없음
✅ AWS/GCP는 이그레스(다운로드)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데이터 락인(Lock-in) 효과가 발생함
✅ Wasabi는 다운로드 비용이 없어서 언제든지 다른 곳으로 데이터를 옮길 수 있음 → 고객 친화적
📌 AWS/GCP는 다운로드 비용으로 고객을 묶어두려는 전략을 씀 (Lock-in 효과)
📌 Wasabi는 다운로드 비용이 없어서 장기 사용 고객 확보 전략을 씀
💡 결론: Wasabi가 저렴한 이유
- ✅ 스토리지 전용 서비스 모델 → 불필요한 기능 제거
- ✅ 단순한 가격 정책 (Flat Pricing) → 가격 예측이 쉬움
- ✅ 장기 보관을 전제로 최적화된 가격 정책 → 단기 삭제 시 추가 비용
- ✅ 스토리지 인프라 최적화 → 3중 복제 대신 RAID + 고밀도 설계로 비용 절감
- ✅ 데이터 다운로드 무료 정책 → 비용 투명성 + 고객 유치
📌 즉, Wasabi는 "장기 데이터 저장 & 자주 다운로드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 🚀
Wasabi의 과금 방식은 1개월 단위(월별 청구) 또는 연간 선결제 옵션이 있으며, Pay-As-You-Go(PAYG) 방식도 제공하지만 최소 저장 기간이 존재한다는 점이 중요해.
📌 1. 과금 방식
Wasabi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과금돼.
1️⃣ Pay-As-You-Go (종량제, PAYG) 요금제
2️⃣ Reserved Capacity Storage (선결제 방식)
✅ 1) PAYG (종량제)
-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는 방식 (시간 단위 과금 X, 월 단위 청구)
- 스토리지 비용: $0.0059/GB/월
- 다운로드(이그레스): 무료
- API 요청 비용: 무료
- 최소 90일간 데이터 보관해야 함 → 90일 전에 삭제하면 남은 기간에 대한 비용이 청구됨
💡 즉, PAYG는 "사용량 기반 과금"이지만, 최소 90일간 보관해야 한다는 조건이 있음.
💡 90일 이내에 데이터를 삭제하면 삭제된 데이터에 대한 잔여 요금이 부과됨.
✅ 2) Reserved Capacity Storage (선결제)
- 1년, 3년, 5년 단위로 스토리지 용량을 미리 구매하는 방식
- 대량 저장 시 더 저렴 (월별 요금보다 20~30% 할인)
- 기업/장기 보관 목적에 적합
💡 예: 100TB를 3년간 저장하는 계약을 하면, 3년 동안 일정 금액을 납부하면서 용량을 보장받음.
💡 장기 저장 시 PAYG보다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음.
📌 2. Wasabi는 1개월 단위 과금인가? PAYG인가?
✅ Wasabi는 기본적으로 "1개월 단위 청구"가 적용되는 PAYG 방식
✅ 하지만 최소 90일 저장해야 하는 조건이 있음 → 이 조건 때문에 완전한 PAYG 방식은 아님
✅ 단기 저장 후 삭제하면 90일 치 요금이 부과됨
✅ 장기 저장이면 "Reserved Capacity Storage"를 선택하면 더 저렴함
💡 결론
Wasabi는 1개월 단위(PAYG) 청구 방식이 기본이지만, 최소 90일 저장 조건이 있어서 완전한 종량제(PAYG) 방식은 아님.
✅ 90일 이내 삭제 시 잔여 기간 요금이 부과됨
✅ 단기 저장 목적이라면 Wasabi보다 다른 스토리지가 나을 수도 있음
✅ 장기 저장이라면 Reserved Capacity Storage 방식으로 더 저렴하게 사용 가능
Wasabi의 무료 이그레스(egress) 정책은 아래와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 **저장한 데이터량(Active Storage Volume)**보다 적거나 같은 양의 데이터 전송(egress)을 하면 무료
✅ 저장한 데이터량보다 더 많은 양의 egress를 발생시키면 정책 위반이며 추가 요금이 부과될 가능성이 있음
📌 질문에 대한 답변
💡 만약 1TB를 저장해놓고, 한 달 동안 1TB를 초과하는 트래픽(egress)이 발생하면, Wasabi의 무료 이그레스 정책을 초과하게 됨.
💡 이 경우, Wasabi가 정책 위반으로 간주할 가능성이 높으며, 추가 비용이 부과될 수도 있음.
📌 추가 설명: Wasabi의 이그레스 정책은 왜 이렇게 운영될까?
Wasabi는 일반적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AWS S3, Google Cloud Storage 등)와 다르게 이그레스 요금을 기본적으로 무료로 제공함. 하지만 과도한 egress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Active Storage Volume과 동일한 양까지만 무료"라는 제한을 둠.
예를 들어:
✅ 100TB 저장 & 월 50TB egress → 무료
❌ 100TB 저장 & 월 200TB egress → 정책 초과 가능성 있음
📌 즉, Wasabi는 "저장된 데이터량을 기반으로 합리적인 수준의 다운로드만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을 운영하는 것!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의 사운드를 아이패드나 다른 모바일 기기로 출력하기 (0) | 2025.02.14 |
---|---|
NAS에 저장된 파일들을 자동으로 색인(indexing) 하고, Netflix나 Apple Music처럼 편리하게 검색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앱 (1) | 2025.02.14 |
HEVC, AV1 고급 코덱의 반복 패턴을 이용한 예측 기반 압축 기법 (0) | 2025.02.14 |
롱텀 프레임 참조(Long-term Reference, LTR) 프레임 또는 멀티레벨 참조(Multi-level Reference) 정의 (0) | 2025.02.14 |
인간의 몸처럼 유연한 수냉 쿨러를 만들 수 있을까?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