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생활

Xeon E3-1200 v7 시리즈가 출시되지 않은 이유

by 우물 밖 개구리. 2025. 2. 5.
반응형

Xeon E3-1200 v7 시리즈가 출시되지 않은 이유

인텔의 Xeon E3-1200 시리즈는 보통 Core i 시리즈 기반의 서버용 CPU로, 주로 소형 서버, 워크스테이션, 엔트리급 서버 시장을 타겟으로 했습니다. 하지만 E3-1200 v7 시리즈는 출시되지 않았고, v6 이후로 단종되었습니다.


🚀 1. 주요 원인: Xeon Scalable (LGA 3647) 출시

가장 큰 이유는 Xeon Scalable 프로세서(코드네임 Skylake-SP, LGA 3647) 출시 때문입니다.

  • 2017년, 인텔이 기존의 Xeon E5/E7 라인업을 없애고, Xeon Scalable 라인업을 새롭게 출시
  • 기존의 Xeon E5-2600/E5-1600, E7-4800/E7-8800 시리즈를 모두 통합
  • Xeon Bronze/Silver/Gold/Platinum 등급으로 새로운 네이밍 체계 도입
  • LGA 3647 소켓 기반으로, 서버 및 고성능 워크스테이션을 위한 플랫폼을 정리

이 과정에서 Xeon E3 라인업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특히 하이엔드 시장에서는 Xeon Scalable 제품군으로 대체되었습니다.


🔍 2. Xeon E3의 역할 감소

1) 제한적인 플랫폼 (듀얼 소켓 미지원, 낮은 코어 수)

Xeon E3 시리즈는 원래

  • LGA 1151 소켓 기반 (데스크탑용과 동일)
  • 듀얼 소켓 미지원 (싱글 소켓 전용)
  • 4코어 8스레드 기반 (최대 4C/8T)
  • 메모리 채널도 2채널로 제한됨

하지만, 2017년 이후에는 서버 시장이 다코어 트렌드로 변화하면서,

  • 싱글 소켓 4코어 서버의 수요가 감소
  • 8코어 이상을 선호하는 흐름이 되면서 Xeon E3의 경쟁력이 급격히 떨어짐

즉, E3-1200 시리즈의 확장성 한계 때문에, 서버 시장에서는 Xeon Scalable로 이동하게 되었음.


2) Intel Xeon W 시리즈의 등장

2017년, 인텔은 **Xeon W 시리즈 (LGA 2066 기반)**를 출시하면서
워크스테이션 시장을 E3 대신 Xeon W로 이동시켰음.

  • Xeon W-2100, W-2200 시리즈는 HEDT 플랫폼(LGA 2066) 기반
  • 최대 18코어까지 지원
  • 더 높은 메모리 용량과 PCIe 레인을 제공

즉, 기존에 Xeon E3가 담당하던 워크스테이션 시장을 Xeon W 시리즈가 흡수하면서,
Xeon E3 시리즈의 필요성이 더욱 줄어들었음.


🔚 결론: Xeon E3-1200 v7이 나오지 않은 이유

  1. Xeon Scalable (LGA 3647) 시리즈 출시 → 고성능 서버 시장을 흡수
  2. 서버 시장의 다코어 트렌드 변화 → 4코어 Xeon E3의 경쟁력 하락
  3. Xeon W (LGA 2066) 시리즈 출시 → 워크스테이션 시장을 흡수
  4. 결국 Xeon E3의 입지가 줄어들면서, v6 이후 단종

즉, Xeon E3 시리즈는 더 이상 유지할 필요가 없었고, Xeon Scalable과 Xeon W가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된 것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