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Xeon E3-1200 v7 시리즈가 출시되지 않은 이유
인텔의 Xeon E3-1200 시리즈는 보통 Core i 시리즈 기반의 서버용 CPU로, 주로 소형 서버, 워크스테이션, 엔트리급 서버 시장을 타겟으로 했습니다. 하지만 E3-1200 v7 시리즈는 출시되지 않았고, v6 이후로 단종되었습니다.
🚀 1. 주요 원인: Xeon Scalable (LGA 3647) 출시
가장 큰 이유는 Xeon Scalable 프로세서(코드네임 Skylake-SP, LGA 3647) 출시 때문입니다.
- 2017년, 인텔이 기존의 Xeon E5/E7 라인업을 없애고, Xeon Scalable 라인업을 새롭게 출시
- 기존의 Xeon E5-2600/E5-1600, E7-4800/E7-8800 시리즈를 모두 통합
- Xeon Bronze/Silver/Gold/Platinum 등급으로 새로운 네이밍 체계 도입
- LGA 3647 소켓 기반으로, 서버 및 고성능 워크스테이션을 위한 플랫폼을 정리
이 과정에서 Xeon E3 라인업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특히 하이엔드 시장에서는 Xeon Scalable 제품군으로 대체되었습니다.
🔍 2. Xeon E3의 역할 감소
1) 제한적인 플랫폼 (듀얼 소켓 미지원, 낮은 코어 수)
Xeon E3 시리즈는 원래
- LGA 1151 소켓 기반 (데스크탑용과 동일)
- 듀얼 소켓 미지원 (싱글 소켓 전용)
- 4코어 8스레드 기반 (최대 4C/8T)
- 메모리 채널도 2채널로 제한됨
하지만, 2017년 이후에는 서버 시장이 다코어 트렌드로 변화하면서,
- 싱글 소켓 4코어 서버의 수요가 감소
- 8코어 이상을 선호하는 흐름이 되면서 Xeon E3의 경쟁력이 급격히 떨어짐
즉, E3-1200 시리즈의 확장성 한계 때문에, 서버 시장에서는 Xeon Scalable로 이동하게 되었음.
2) Intel Xeon W 시리즈의 등장
2017년, 인텔은 **Xeon W 시리즈 (LGA 2066 기반)**를 출시하면서
워크스테이션 시장을 E3 대신 Xeon W로 이동시켰음.
- Xeon W-2100, W-2200 시리즈는 HEDT 플랫폼(LGA 2066) 기반
- 최대 18코어까지 지원
- 더 높은 메모리 용량과 PCIe 레인을 제공
즉, 기존에 Xeon E3가 담당하던 워크스테이션 시장을 Xeon W 시리즈가 흡수하면서,
Xeon E3 시리즈의 필요성이 더욱 줄어들었음.
🔚 결론: Xeon E3-1200 v7이 나오지 않은 이유
- Xeon Scalable (LGA 3647) 시리즈 출시 → 고성능 서버 시장을 흡수
- 서버 시장의 다코어 트렌드 변화 → 4코어 Xeon E3의 경쟁력 하락
- Xeon W (LGA 2066) 시리즈 출시 → 워크스테이션 시장을 흡수
- 결국 Xeon E3의 입지가 줄어들면서, v6 이후 단종됨
즉, Xeon E3 시리즈는 더 이상 유지할 필요가 없었고, Xeon Scalable과 Xeon W가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된 것임.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ackwell 아키텍처에서 NVENC(NVIDIA Encoder)가 Ada Lovelace 대비 BD-BR(Bit-Rate Distortion - Bitrate Reduction) 5% 개선 (0) | 2025.02.05 |
---|---|
소프트웨어적으로 메인보드의 실제 최대 메모리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 (0) | 2025.02.05 |
인텔이 일부 소비자용 칩셋(B, H, Z 시리즈)에서 제온 프로세서를 기술적으로 차단했었다 (0) | 2025.02.05 |
서버 시장에서 Xeon E7이 아니라 Xeon E5가 주류였던 이유가 뭘까? (0) | 2025.02.05 |
2025년 중고 가성비 서버 프로세서 추천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