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생활

SATA가 아니라 SSATA라는 규격이 따로 있을까? 설명해보았다.

by 우물 밖 개구리. 2025. 2. 1.
반응형

SSATA라는 용어가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SATA와는 약간 다른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혼동이 있을 수 있으니, 이를 명확히 설명해드릴게요. 😊


SSATA란 무엇인가?

  1. SSATA: Server SATA (혹은 Super SATA)
    • SSATA는 때때로 "Server SATA" 또는 **"Super SATA"**로 불리며, 주로 서버나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사용하는 SATA 포트를 의미합니다.
    • 이 포트는 표준 SATA와 동일한 데이터 전송 규격(예: SATA 3.0, 6Gbps)을 사용하지만, 특정 서버 메인보드에서 추가로 제공되며 일반 SATA 포트와는 별도의 역할이나 기능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용도
    • SSATA 포트는 서버 시스템에서 저장 장치를 구분하거나 특수한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RAID 설정, 고성능 SSD 연결, 또는 부팅 드라이브와 데이터 드라이브를 분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3. 차이점
    • 일반 SATA 포트와 동일한 케이블과 장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SSATA 포트는 BIOS 또는 메인보드 설정에서 다른 역할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 특정 메인보드에서는 SSATA 포트를 별도로 표시해, RAID 컨트롤러와 연결하거나 특정 저장 장치에 우선 순위를 두는 식으로 활용합니다.

SSATA와 일반 SATA의 차이

 

특징  SATA  SSATA
풀네임 Serial ATA Server SATA (또는 Super SATA)
대역폭 동일 (SATA 1.0~3.0) 동일 (SATA 1.0~3.0)
주 사용 환경 일반 PC, 노트북, 워크스테이션 서버, 엔터프라이즈 메인보드
특수 기능 없음 RAID 및 특수 연결 지원
물리적 형태 동일 동일

SSATA가 표시된 메인보드 예시

SSATA 포트는 주로 서버용 메인보드 또는 고급 워크스테이션 메인보드에서 보입니다.
예를 들어:

  • ASUS Z10PE-D8 WS (워크스테이션용 듀얼 소켓 메인보드)
    이 메인보드에는 SATA 포트SSATA 포트가 별도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SSATA는 일반 SATA 포트와는 별도로 동작하거나 특수 RAID 설정에 사용됩니다.
  • Intel 서버 보드
    Intel 기반 서버 보드에도 SSATA 포트가 별도로 제공되어, 저장 장치 구성을 세분화하거나 특정 장치와 연결하는 데 사용됩니다.

SSATA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아니다

  • SSATA는 물리적으로나 전기적으로 기존 SATA와 동일하며, 단지 서버 환경에서 기능적으로 다르게 구분된 이름일 뿐입니다.
  • 사용자는 기존 SATA 장치(SSD, HDD 등)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

SSATA는 표준 SATA와 완전히 동일한 규격을 따르지만, 주로 서버 환경에서 특정 포트에 대해 기능적 구분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일반적인 개인용 PC에서는 거의 볼 수 없으며, 서버 메인보드나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