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메인보드의 최대 RAM 용량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완벽하게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메인보드의 제품 스펙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최대 용량을 확인하는 방법도 아래와 같이 가능합니다.
1. 소프트웨어로 확인하는 방법
운영체제나 진단 툴을 사용해 메인보드가 지원하는 최대 RAM 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 Windows에서 확인
- **CMD(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한 후 아래 명령어를 입력:
- MaxCapacity: 메인보드가 지원하는 총 최대 메모리 용량(단위: KB).
- MemoryDevices: 메인보드의 메모리 슬롯 개수.
- MaxCapacity MemoryDevices 67108864 4
- wmic memphysical get MaxCapacity, MemoryDevices
B. CPU-Z 사용
- CPU-Z(https://www.cpuid.com/softwares/cpu-z.html) 같은 하드웨어 정보를 제공하는 툴을 사용해 메인보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PU-Z를 설치하고 실행.
- Mainboard 탭에서 메인보드 모델명을 확인.
- 메인보드 모델명을 기반으로 제조사 웹사이트나 사용 설명서를 검색해 최대 지원 RAM 용량을 확인.
C. HWiNFO 사용
- HWiNFO(https://www.hwinfo.com/)는 시스템 정보와 메인보드, RAM 관련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툴입니다.
- HWiNFO를 다운로드하고 실행.
- Motherboard 정보에서 메모리 슬롯 개수와 최대 용량 정보를 확인.
2. 정확한 확인을 위해 메인보드 스펙 확인
소프트웨어가 메인보드의 최대 RAM 용량을 항상 정확히 알려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BIOS 업데이트 상태나 시스템의 현재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메인보드 제조사의 공식 문서나 제품 페이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확인 방법
- 메인보드 모델명을 확인 (CPU-Z, HWiNFO, 박스나 보드 표면 확인 가능).
-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해당 모델의 스펙 페이지를 찾아 최대 RAM 용량을 확인.
3. RAM을 직접 꽂아서 확인해야 하는 경우
만약 위의 방법으로도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직접 고용량 RAM을 설치해보는 방법이 최후의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원하지 않는 경우 부팅 실패.
- BIOS가 오래되었거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 지원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음.
요약
- 소프트웨어 확인:
- CMD 명령어 (wmic memphysical).
- CPU-Z, HWiNFO 등 전문 툴 사용.
- 메인보드 스펙 확인:
- 메인보드 모델명을 검색하여 제조사 공식 문서에서 확인.
- 최후의 수단:
- 직접 고용량 RAM을 설치해 테스트.
소프트웨어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지만, 정확한 확인은 메인보드의 공식 스펙을 참조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반응형
'IT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듀얼 소켓 메인보드에서 CPU를 하나만 장착하고도 사용이 가능할까? (0) | 2025.02.01 |
---|---|
마이크로소프트 Hyper-V 속에서 또 다른 VM을 실행하는게 가능할까? (Nested Virtualisation) (0) | 2025.02.01 |
파워 서플라이에 ATX 8핀 CPU 보조전원이 1개밖에 없는데 메인보드에는 2개 이상이 필요할 때의 해결법 (0) | 2025.02.01 |
윈도우에서 Drive Path를 할당하지 않아도 액세스 가능할까? (0) | 2025.02.01 |
윈도우에서 외장 디스크 또는 이동식 디스크를 활용하여 Raid나 JBOD 구성이 가능할까? (0) | 2025.02.01 |